[헤럴드경제=신창훈 기자]세계 3대 신용평가사 중 하나인 스탠더드앤푸어스(S&P)가 우리나라의 신용등급을 한단계 상향조정했다.
14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S&P는 이날 우리나라 신용등급을 기존 A에서 A+(안정적)으로 한단계 올렸다. 이번 등급조정은 지난 2005년 7월 A-에서 A로 등급을 올린 이후 7년 만이다.
올들어 무디스(Moody’s)와 피치(Fitch)에 이어 S&P도 한국의 신용등급을 올림으로써 3개 국제신용평가사 종합기준으로 볼 때 1996년 6월부터 1997년 10월까지 우리나라가 보유했던 최고 등급을 15년 만에 회복하게 됐다.
중국, 일본과 비교해보면 S&P 기준으로는 기존 두단계에서 한단계 차이로 줄어들었다. 무디스 기준으로는 한국이 중국ㆍ일본과 같고, 피치로는 우리나라가 중국ㆍ일본보다 한단계 높다.
주요국 신용등급이 강등되는 추세 속에서 3개 신용평가사가 우리나라 신용등급을 모두 상향한 것은 극히 이례적이라고 재정부는 설명했다. 실제 2011년 이후 A레벨 이상 국가들 중 동일년도에 3개 신용평가사가 모두 등급을 올린 국가는 우리나라가 유일하다.
A레벨 이상 국가수를 보면 2007년 47개에서 2008년 45개, 2009년 43개, 2010년 43개 2011년 26개, 2012년 9월 기준 23개로 갈수록 줄어드는 추세다.
신용등급 조정 이유로 S&P는 북한 리스크 축소, 우호적인 정책 환경, 재정 건전성 강화, 양호한 순대외부채 수준 등을 제시했다.
S&P는 북한의 원만한 권력승계로 갑작스런 붕괴 등 급변 위험이 감소했다고 분석했다. 글로벌 경기침체로 실질 GDP(국내총생산) 성장률이 2.8%로 예상되는 등 경제지표가 둔화되고 있으나 효율적ㆍ안정적이며 예측 가능한 정책 결정 과정이 성장 촉진, 내수안정에 기여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재정건전성과 관련 S&P는 2000년 이후 거의 모든 해에 일반정부 수지가 흑자를 기록하고 2012년 일반정부 순부채 수준은 GDP 대비 21%로 추정했다.
S&P는 향후 몇년 간 지속 가능하고 강한 성장을 통해 1인당 GDP가 올라가거나 단기차입 축소로 은행 시스템이 강화될 경우 추가 상향조정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반면 북한의 정정 불안이 체제 붕괴, 안보 불안을 유발하거나 자산건전성 저해로 인한 금융시스템이 크게 저해되는 경우 등급 하향 조정 가능성도 있다고 언급했다 .
재정부 최종구 국제업무관리관(차관보)은 이날 브리핑에서 “이번 S&P의 신용등급 상향조정은 여러 측면에서 우리 경제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달 줄 것”으로 기대했다.
국내 금융기관ㆍ기업 등의 신용등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공기업, 국책 금융기관의 신용등급은 국가 신용등급 상향조정에 즉각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최 차관보는 “대외환경이 안좋고 수출도 줄어드는데 자본유입을 보다 촉진하는 쪽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그 부분을 어떻게 할지는 고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3개 신용평가사의 신용등급 상향이 국제자본 유입을 촉진해 급격한 원화강세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우려다.
chunsim@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