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덕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13일 세종시 한 음식점에서 기자들과 오찬을 가지면서 국립현대미술관장 후보 3명 가운데 외국인이 들어있다는 사실을 밝히면서 한얘기입니다. 국립현대미술관장 직위는 정부부처 국장급인데 지나친 관심이라는 거죠. 더욱이 글로벌 시대에 ‘외국인’ 운운은 맞지 않는다는 생각이 있는 것 같습니다.
아닌게 아니라 공석중인 국립현대미술관장 선임건은 문화계 핫 이슈 중 하나입니다.
김 장관은 이날 미술관장 최종 후보에 3명이 올랐고, 그 중 한 명은 외국인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미 미술관장 공모 당시 외국인도 포함시키겠다고 공표한 상태라 최종 후보자에 외국인이 들어있을 것으로 본 기자들은 후보자의 면면이 궁금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마치 열두고개 식의 질문으로 실마리라도 잡아보려 했지만 장관은 기다리라는 말만 했습니다. 심지어 ”한국말을 할 줄 아는 외국인이냐“는 질문이 나오기도 했지만 대답은 들을 수 없었습니다.
지난 1년간 적임자를 찾지 못한 만큼 이번에는 외국인이 유력한 것 아니냐는 예측과 함께 일찌감치 장관이 염두에 둔 인물이 있는 거 아니냐는 얘기까지 나온 상태입니다.
미술계의 지나친 관심은 아무래도 정부기관장에 외국인이 임명된 사례가 없기 때문일 수 도 있습니다. 이를 두고 미술계에서는 왈가왈부 말이 많은 모양입니다. 하나밖에 없는 국립미술관장 자리를 외국인에게 내주는게 말이 되느냐부터 한국미술의 정체성과 소통의 문제까지 반대론자의 입장은 다양합니다.그런데 이런 잣대를 거꾸로 미술관에 적용해보면, 그동안 죽 거쳐간 미술관장들이 탁월한 성과를 내고 소통을 잘 했는지도 따져봐야 할 일입니다. 국립현대미술관이 대중과 거리가 멀다는 지적은 국감때마다 나오는 레파토리입니다. 기억에 남는 기획전도 딱히 떠오르지 않습니다.
어찌보면 글로벌 시대에 국립현대미술관의 역할은 외국인의 시선으로 한국 미술을 어떻게 보여줄 것인가를 고민하는게 새로울 수 있습니다. 우리의 고정관념과는 다른 이방인의 시선이 때로 객관적이고 정확할 수 있으니까요. 또 그동안 판에 박인 전시형태에서 벗어나 외국인의 시선으로 낯설게 보여주기는 예술에 다가가는 또 다른 방식이기도 하다는 점에서 기대가 생기기도 합니다.
그동안 예술계는 학연 등의 파벌로 늘 시끄러웠던게 사실입니다. 김 장관의 문호개방은 그런 데서 벗어나 능력있는 인물을 뽑아보자는 판단인 것 같습니다.
김 장관은 이 자리에서 ‘삼성의 힘’을 국내외를 가리지 않고 능력있는 사람을 기용하는 데 있다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장관의 그간의 단편적인 말들을 이어보면 아무래도 이번엔 외국인 미술관장이 유력해 보입니다.
지난해 10월 정형민 당시 관장의 부당채용 비리로 공석이 된 국립현대미술관장에 1년의 공백을 채우고도 남을 만한 인물이 기용되길 기대해봅니다.
/meelee@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