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쉼표]억새, 물억새, 갈대
“제가 갈대 사진을 찍어 블로그에 올렸는데, 글쎄 그게 갈대가 아니라 억새라며 비난 댓글이 달린 거에요.”

한 여행작가가 그 상처 때문에 블로그 활동을 접었다며 들려준 얘기다. 가을의 낭만 억새꽃이 활짝 피었다. 갈대도 한창이지만 둘을 제대로 구분할 줄 아는 이는 많지 않다. 둘을 섞어놓고 가르라고 하면 누구나 허둥대게 마련이다. 억새는 산이나 언덕에서 자라니까 구분이 간단한 듯 하지만 물억새도 있다. 물억새는 강가나 습지에서 자라는 만큼 갈대와 헷갈리기 십상이다. 서식지로 우선 구분하면 갈대는 산에서는 자라지 못한다. 억새와 물억새는 꽃이 뭉쳐나는 쪽이 억새고, 갈라져 나는 쪽이 물억새다. 우리가 흔히 억새꽃이라 부르는 억새의 흰술은 억새의 씨다. 하얀 날개를 단 씨가 바람에 날려 흩어져 발아하기 좋은 곳에 떨어지면 씨에서 싹이 돋아나 억새로 자라난다. 같은 습지에 사는 물억새와 갈대는 색깔로 구분하는 이도 있다. 억새는 은빛, 갈대는 황갈색에 가깝다. 모양도 자세히 보면 다르다. 억새가 빗자루 같다면 갈대는 뿌리줄기가 길게 뻗으면서 부챗살처럼 퍼진다. 산이나 습지가 아닌 곳에 자라는 억새 이야기도 있다. 태조 이성계의 묘, 건원릉의 억새다. 반지르르한 왕의 묘와 달리 봉분이 봉두난발한 모양새다. 여기에는 나름 이방원의 효심(?)이 담겨 있다. 이방원의 왕자의 난에 화가 나 옥새를 가지고 고향 땅 함흥으로 가버렸던 이성계가 무학의 설득으로 돌아온 건 1402년. 하늘의 뜻이라 여기고 태종을 받아들인 이성계는 죽어서 함흥에 묻히고 싶다며 태종의 약속을 받아낸다. 태조가 세상을 뜨자 태종은 먼 곳에 묘를 둘 수는 없었다. 고심 끝에 한양 인근에 잡은 터가 동구릉 내 건원릉. 대신 태종은 봉분만은 함흥 땅 억새풀로 덮고 베지 못하게 했다.


이윤미 기자/mee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