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모든 정보는 ‘클라우드’로…국가ㆍ사회 IT인프라 대전환”

[헤럴드경제=이형석 기자]‘모든 정보는 클라우드로 통한다’. 정부와 민간의 주요 IT인프라가 클라우드로 ‘대전환’한다. 3년 후인 2018년까지 정부통합전산시스템의 60% 이상이 클라우드로 전환된다. 모든 공공부문의 40%는 민간 클라우드를 이용하게 된다. 민간 부문의 클라우드 이용률은 현재의 3% 수준에서 10배인 30%로 높아진다. 이를 기반으로 2021년엔 클라우드 선도국가로 진입한다는 것이 정부의 목표다.

미래창조과학부는 행정자치부 등 관계부처와 정부3.0추진위원회 합동으로 10일 국무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의 ‘K-ICT 클라우드컴퓨팅 활성화 계획’을 확정 발표했다. 이는 지난 9월 28일부터 시행된 클라우컴퓨팅 발전법에 따라 마련된 제 1차 법정 기본계획(2016~2018년)이다. 


클라우드는 하드웨어(HW)와 소프트웨어(SW)등 각종 정보통신기술(ICT) 자원을 통신망에 접속해서 서비스로 이용하는 방식이다. 사용자가 개별 단말이나 서버에 HW나 SW를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것만 필요할 때에 접속해서 활용하는 서비스다. 대상에 따라 SW(SaaS)와 플랫폼(PaaS), 서버ㆍ스토리지 등 IT인프라(IaaS) 등이 있다.

정부가 ‘국가ㆍ사회 IT인프라의 클라우드 대전환’을 선언한 것은 관련 시장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글로벌 클라우드 시장은 지난해 836억달러에서 오는 2019년까지는 1882억달러로, 국내의 경우 같은 기간 동안 5억4천만달러에서 12억달러로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연평균 17% 수준이다.

정부의 클라우드 컴퓨팅 활성화 계획은 1단계로 3년간 크게 3가지 방향에서 추진된다. 먼저 정부와 공공부문이 마중물 역할을 하도록 선제적으로 클라우드를 도입한다. 우선 2018년까지 정부통합전산센터 두 곳(1, 2센터)를 클라우드로 전환한다. 총 1233개 시스템 중 클라우드 전환율을 현재 32% 수준에서 2018년 64%까지 확대한다. 또 제 3센터 구축도 추진한다.

이와 함께 2018년까지 공공기관의 40%가 민간 클라우드를 이용하게 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파급효과가 큰 주요 대규모 공공 사업을 민간 클라우드 선도 프로젝트로 추진한다. 초중고 SW교육, 국가학술정보 대국민 통합제공, 어린이집ㆍ공공시설 CCTV 관리, 선거관리, 헌법기관 자료백업 등에 민간 클라우드를 이용하는 사업이 하반기부터 순차적으로 구축된다.

민간 부문의 클라우드 이용률을 현재 3% 수준에서 3년 후 30%로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안전한 클라우드 이용환경 및 규제 철폐, 제도 개선, 중소기업 및 산업 적용 확대 방안이 추진된다. 의료, 교육 등 각종 법령에서 클라우드 이용을 사실상 제한하는 규제를 ‘민간 클라우드 규제개선 추진단’을 중심으로 올해 말까지 집중 발굴하고, 내년부터 순차적으로 개선해 나갈 예정이다.

마지막으로, 공공ㆍ민간 부문의 클라우드 이용이 원활히 확산될 수 있도록 정부는 클라우드 산업의 성장 생태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소프트웨어 국가 연구개발(R&D) 중 클라우드 분야 투자를 올해 9%에서 2018년 30%으로 끌어올리고, 조달ㆍ관세ㆍ전자투표 등 전자정부 시스템을 클라우드 기반으로 해외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정부는 이를 통해 3년간 공공부문 1조2천억을 포함해 총 4조6천억 수준의 국내 클라우드 시장을 창출하고, 공공 부문 클라우드컴퓨팅 활용으로 같은 기간 3700억원을 절감한다는 목표다. 또 클라우드 기업을 지난해 250개에서 3년간 800개로 육성한다는방침이다.

최양희 미래부 장관은 “이번 대책은 국내 클라우드 산업육성의 청사진을 제시한 것으로 우리가 미국, 영국 등 선진국보다 5년 정도 늦었지만 세계에서 처음으로 클라우드컴퓨팅 법을 제정하여 시행하는 만큼, 민관이 역량을 결집한다면 클라우드 선도국가로 도약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su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