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예술계 ‘미투’운동 대응
문체부, 3월부터 100일간 운영
피해자 심리상담·법률자문 병행
정부가 최근 빠르게 확산되는 문화예술계의 ‘미투’(me too·나도 당했다)운동에 신속히 대응할 특별신고상담센터를 3월부터 개설·운영한다. 도종환 문체부 장관은 27일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업무보고에서 연극계 등 성희롱·성폭력과 관련, 예술 분야 전담 신고상담센터 설치를 포함한 ‘문화예술계 성희롱·성폭력 예방대책’을 밝혔다.
성희롱 특별신고상담센터는 3월 중 개설, 100일 동안 한시적으로 운영한다. 이와함께 예술인복지재단 내 신고 상담센터 신설과 콘텐츠진흥원 공정상생센터, 한국영화성평등센터 ‘든든’ 등 신고 상담센터를 신규 개설, 3월부터 운영키로 했다. 이들 창구에선 피해자들에 대한 심리상담과 법률 자문을 제공할 예정이다.
문체부는 성희롱·성폭력의 예방차원에서 분야별 특성을 반영한 매뉴얼을 개발, 성희롱 예방 교육도 강화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또한 올 하반기부터는 분야별 정부 지원·공모 사업을 추진할 때 성폭력 관련 교육을 의무화하고, 성폭력 연루자는 공무담임을 제한하고 공적 지원을 배제하는 방안도 이번 대책에 포함됐다.
현장 예술인과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해 예술가의 성적 자기결정권 보호, 침해행위 구제를 위한 법제화도 추진키로 했다.
한편 문체부가 27일 공개한 예술계 구조적인 성폭력 실태 조사결과에 따르면, 1254명의 응답자 가운데 60.3%가 ‘성폭력 예방교육 경험이 없다’고 답했으며, 내용이 예술계에 적합하지 않다는 응답 비율도 51.2%에 달해 제도적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피해 경험별로는 언어적 성희롱이 42.6%로 가장 많았고, 성추행 27.5%, 시각적 성희롱 25.6%, 강간 미수 4.0%, 강간 2.0% 순이었다. 가해자로는 선배 예술가가 43.5%로 다수를 차지했고 동료·후배 예술가 28.7%, 교수·강사 23.2%순이었다.
성희롱, 성폭력에 피해자들은 무력했다. 피해자 39.5%가 ‘대응하지 못했다’고 답했으며, 20.0%가‘자리를 옮기거나 도망쳤다’고 답했다. 피해 신고율도 4.1%로 극히 낮았고, 그 이유로 ‘신고를 해도 소용없을 것 같아서’(39.7%)가 대부분을 차지했다.
이윤미 기자/meelee@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