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경제계와 소통 창구로서 역할론 비등…재계 아쉬운 목소리
[헤럴드] |
[헤럴드경제=유재훈 기자] 전국경제인연합회가 또 다시 '패싱' 당했다. 문재인 정부 출범 3년차에 접어들도록 이어지고 있는 전경련 외면에 경제계에선 우려의 뜻을 표하고 있다.
특히 일본의 수출규제 보복 국면에서 탄탄한 대일(對日) 대화 채널을 갖고 있는 전경련의 역할론이 커지는 가운데, 정부도 이를 활용할 방안을 고민해야한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전경련은 10일 청와대가 일본의 수출제한조치 등 최근 경제상황에 대한 민관 협력방안 논의를 위해 마련한 경제계 주요인사 초청간담회에 참석하지 못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30개 기업 총수 및 CEO와 한국무역협회, 한국경영자총협회, 중소기업중앙회, 중견기업연합회 등 4개 경제단체장이 참석했다.
전경련은 이날 청와대 주최 간담회에 참석 요청조차 받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른바 ‘경제4단체’ 중 유일하게 초청장을 받지 못한 것이다.
허창수 회장이 이날 간담회에 참석하긴 했지만 GS그룹 회장 자격이지 전경련과는 무관했다. 청와대가 타진했지만 박용만 회장의 불가피한 해외 출장으로 참석하지 못한 대한상공회의소와는 큰 차이가 있다.
이같은 정부의 기조에 경제계 일각에선 일본 재계와 대화창구로서 전경련의 역할마저 외면받아서는 안된다는 입장을 내놓고 있다.
전경련은 최근 한일 경제갈등 완화를 위해 일본 경제단체연합외(게이단렌)과 대화 테이블을 열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접촉 시기, 형식 등 구체적인 방안이 논의되고 있는 단계는 아니지만 전경련이 지난 50년간 꾸준히 ‘한일경제인회의’를 개최하며 일본 재계와 소통을 이어가고 있는 만큼 최근의 경색 국면을 해소하는 단초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감이 크다.
실제로 허창수 전경련 회장은 지난 3월 일본에서 열린 ‘B20 도쿄 서밋’에 참석해 나카니시 히로아키 회장등 게이단렌 측과 회동을 갖는가 하면, 오는 11월 서울에서 게이단렌과 '한일경제인회의'를 열기로 합의하기도 하는 등 접촉의 끈을 이어가고 있다.
최근 경제위기 국면에서 제 목소리를 내지 못하는 것은 물론, 일본 경제보복 사태에서도 외면받으면서 전경련이 ‘재계 대표단체’라는 본래의 위상을 찾기는 사실상 불가능한 것으로 보여진다.
최근 취임한 김상조 청와대 정책실장은 과거 공정거래위원장 당시 본지와의 인터뷰를 통해 “전경련을 예를 들어 싱크탱크로 전환하고 과거와 달라진 재계의 이익을 공정하게 대변할 수 있는 상의와는 별도의 기구를 재계가 스스로 만들어야 한다”며 “전경련의 근본적 개혁 또는 싱크탱크 전환의 속도를 내주는 게 다른 차원에서 소통이 이뤄질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김 실장은 “하지만 전경련 개혁이 쉽지 않은게 누가 고양이 목에 방울을 달거냐는 것”이라며 “재계의 신뢰를 발휘할 수 있는 분이 이런 작업을 주도적으로 해주길 바란다”고 덧붙이기도 했다.
igiza77@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