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미국산 농산물 수입도 중단
미국은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며 맞불
WSJ “갈수록 한쪽이 물러서기 어려워지고 있다”
[EPA] |
[헤럴드경제=김우영 기자] 미국과 중국의 무역전쟁이 외환시장까지 확대되면서 전면전 양상을 띠고 있다.
5일(현지시간) 중국의 달러-위안 환율은 아시아시장에서 7위안 선을 넘었다. 지난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처음으로, 중국 인민은행은 시장 자율에 의한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그간 위안화 환율이 당국의 통제 하에 있단 공공연한 비밀을 감안하면 중국 당국이 심리적 저지선인 ‘포치’(破七), 즉 위안화 가치가 달러당 7위안을 넘어서는 것을 의도적으로 허용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다음달부터 3000억 달러 규모의 중국산 제품에 10%의 관세를 추가 부과하겠다고 밝힌데 대한 보복이란 것이다.
미 투자은행 코웬의 크리스 크루거 연구원은 CNBC방송에 중국의 보복단계가 가장 약한 1부터 10까지 있다면 포치는 11단계에 해당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최근 위안화 약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나타난 이날 급격한 환율 움직임은 중국이 단기에 협상에 나서지 않을 것이란 신호로 해석된다”고 밝혔다.
이어 중국 외교부는 추가 관세 부과에 대응하는 차원에서 미국산 농산물 수입을 중단하겠다고 못 박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무역협상 재개의 전제조건으로 미국산 농산물 수입 재개를 주장해왔다. 트럼프 대통령의 강공에 중국이 정면으로 맞선 것이다. 마크 해페일 UBS글로벌 자산관리 최고투자책임자(CIO)는 블룸버그 통신에 “중국이 미국산 자동차에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 외에도 중국이 자국 내에서 활동하는 미국 기업에 유무형의 제재를 가할 수도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중국은 앞서 미국이 화웨이 등에 거래금지 제재를 가하자 ‘신뢰할 수 없는 기업’ 목록을 만들 수 있다고 엄포를 놓았다.
[AP] |
미국은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면서 최악의 충돌도 마다하지 않겠단 의지를 보였다. 환율조작국이 되면 미국은 해당 국가에 환율 저평가 및 지나친 무역흑자 시정을 요구할 수 있으며 1년이 지나도 개선되지 않을 경우 미국 기업의 투자 제한 등 제재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무엇보다 1998년 이후 공식적으로 환율조작국을 지정하지 않던 미국이 지난 5월만 해도 중국을 환율 관찰국으로 분류했다 이날 전격적으로 환율조작국으로 삼았다는 점에서 상징적인 의미가 크다.
상황이 악화일로를 겪으면서 지난해 하반기 이뤄졌던 미·중의 극적인 화해 기대는 사그라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9월 2000억 달러 규모의 중국산 제품에 10% 관세를 부과한 뒤 대화를 끊는 초강수를 두었다. 하지만 전통적 지지층에서조차 비판 여론이 일자 언론과 인터뷰, SNS 등을 통해 중국과 좋은 협상을 할 것 같다며 분위기 전환을 꾀했고 마침내 12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만나 관세인상을 유예하기에 이르렀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무역전쟁을 관세에서 다른 것으로 확대하는 것은 상황을 더 악화시키는 것”이라며 “아직 무역과 시장을 안정시킬 시간이 있긴 하지만 갈등이 심화되면 될수록 어느 한쪽이 물러서기 어려워진다”고 지적했다.
kwy@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