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 권고나 강제성 없다…희망 직원만 심사”
업황 부진과 수요 부진에 구조조정 행보 시각도
서울 강서구 대한항공 본사 위로 대한항공 여객기가 날아오르고 있다. [연합] |
[헤럴드경제=정찬수 기자] 대한항공이 첫 단기 무급휴직을 시행한 데 이어 6년 만에 희망퇴직을 받는다. 업황 부진에 따른 비상경영 신호탄이라는 분석이 제기된다.
대한항공은 12일 15년 이상 근속한 만 50세 이상 직원을 대상으로 희망퇴직 신청을 받는다고 밝혔다. 운항승무원과 기술·연구직, 해외근무 직원 등 일부 직종은 제외했다.
희망퇴직 신청 직원들에겐 법정 퇴직금은 물론 최대 24개월분의 월급여를 추가로 지원한다. 퇴직 후 최대 4년간 자녀의 고교·대학교 학자금 등 복리후생의 지원도 이뤄진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정년(60세)에 앞서 새로운 인생 설계를 준비하고 있는 직원들에게 더 나은 조건으로 퇴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며 “회사의 권고나 강제성이 전혀 없으며, 직원이 스스로 택한 경우에만 심사를 거쳐 진행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대한항공의 희망퇴직은 지난 2013년 약 110여 명 규모로 진행한 이후 처음이다.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의 사업 구조조정 의지가 인력 감축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 업계의 중론이다.
조 회장은 지난달 20일 뉴욕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익이 나지 않는 사업은 하지 않겠다”며 몸집 줄이기 가능성을 언급했다.
지난 10월 근속 만 2년 이상의 직원을 대상으로 최대 6개월 무급 휴직 신청을 받은 것이 대표적이다. 무인 발권기를 활용한 카운터 상주 인력도 줄이는 추세다.
지난달 말 이뤄진 정기 임원인사에선 그룹 전체 임원 규모를 108명에서 79명으로 줄였다. 임원 조직 체계도 기존 6단계에서 4단계로 축소했다.
인건비 절감 등 비상경영 행보는 불가피한 선택이다. 지난 분기 국제선 여객·화물 수익이 역성장을 기록했고, 일본 불매운동 여파로 수요까지 둔화했기 때문이다. 특히 동남아를 비롯한 중단거리 노선의 가격 경쟁과 미-중 무역 분쟁 등 내년 불확실성도 여전하다.
업계 한 관계자는 “불안한 대외 변수에 대응하는 첫 번째 신호가 인력 감축 등 내부 구조조정”이라며 “다만 단기휴직과 휴직으로 인한 비용 절감 효과는 제한적일”이라고 말했다.
한편 대한항공의 올해 3분기 매출액은 총 3조283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3조2097억원)보다 3.7% 줄었다. 3분기 당기순손실은 2118억원으로 올해 누적 당기순손실은 6268억원이다.
andy@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