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배터리 셀·모듈 튼튼하다더니'..8개월만에 말바꾼 정부
1차 조사 때 지목했던 운영·환경 등 복합적 요인 등한시
‘열화현상’에만 치중…배터리 이상 추정 성급한 결론

[헤럴드경제 유재훈 기자] “일부 배터리 셀에서 제조상 결함을 발견했지만, 이러한 결함을 모사한 실증에서 화재가 발생하진 않았다” (지난해 6월 1차 조사 당시)

“배터리를 제조할 때 일부 조금씩 문제가 있었을 수 있다” (지난 6일 2차 조사단 관계자)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사고 원인 조사 결과가 '배터리 책임'으로 최종 결과가 나온 데 대해 8개월여 만에 뒤짚힌 부실검증이라는 비난의 목소리가 거세다.

한국 경제의 미래 신사업으로 육성하겠다고 밝힌 ESS산업에 닥칠 후폭풍을 고려했다면 보다 신중하고 정밀한 검토를 거쳤어야 했다는 지적이다.

2차 조사단의 결과 발표는 8개월 전의 1차때와 달리 ‘배터리 이상’을 사고 원인으로 못박았다. 지난해 6월 1차 조사단 때만해도 정부는 사고 원인을 배터리시스템 결함과 전기적 충격 요인에 대한 보호체계 미흡, 운용환경관리 미흡 및 설치 부주의, ESS 통합관리체계 부재 등 화재요인을 복합적으로 추정했었다.

지난해 울산광역시의 한 ESS 사이트에서 화재가 발생한 모습.[연합]

하지만 2차 조사단에선 이를 사고의 주요 원인으로 보기보다는 ‘이상이 있는’ 배터리가 발화하는 데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 정도로 봤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ESS가 설치된 지역의 열악한 환경이나 허술한 관리시스템 등의 사고유발 요인에 대한 불충분한 검증이 가져온 결과로 보고 있다.

조사단 내에서도 이 같은 인식의 한계를 인정하는 기류가 포착된다. 조사단은 지난 6일 사고조사 결과 발표 브리핑 이후 가진 질의응답에서 “5억원 가량 되는 비싼 설비를 아주 열악한 지역에 설치하고, 관리자 없이 운영하는 것은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고 밝혔다.

ESS에 장착된 배터리에서 발생하는 ‘열화’현상을 화재의 주 원인처럼 추정한 것도 문제라는 지적이다. 배터리는 사용 과정에서 열이 발생할 수 밖에 없고, 충·방전이 거듭되며 수명이 닳아갈수록 ‘열화’가 더 심해진다.

또 배터리가 설치된 지역의 외부환경이나, 충·방전량의 급격한 변화 역시 배터리에 스트레스를 가해 열화가 심해지는 이유가 되기도 하는데 이를 단순한 배터리 이상으로 보는 것은 성급한 결론이라는 지적도 있다.

조사단 관계자 역시 “(국내 배터리의) 셀과 모듈 단위는 정말 제조사가 잘해서 아주 튼튼하다. 그런데 시스템을 구축해놓고 나면 불이 나는 게 왜 그런지 좀 봐야 될 것 같다”라고 말하며 이를 일정부분 인정하는 듯한 뉘앙스의 발언이 나올 정도였다.

조사단의 결론에 업계가 "배터리는 불에 타는 가연물로서 화재를 확산시키는 역할 이상 점화원이라고 단정하기는 힘들다”고 주장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조원일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박사는 2차 조사위의 결과 발표와 관련 “조사위가 전기 안전 분야가 주축으로 꾸려져 배터리가 불쏘시개 역할을 한 것에만 집중했지, 왜 배터리에 불이 붙게 됐는지를 검증하는 부분이 부족했다”며 “1차 조사 때와 유사한 화재지만, 비슷한 사이트에서 수거한 배터리에서 열화가 발생했다는 점을 근거로 이런 결론에 이른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