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후연구원이 해마다 큰 폭으로 늘어나고 있지만 이들의 경력개발과 처우개선 지원책 마련이 절실한 상황인 것으로 나타났다.[헤럴드경제 DB] |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국가 과학기술 발전 견인차 역할을 해야 할 박사후연구원이 해마다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열악한 취업여건과 처우에 대한 개선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박사후연구원은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독립된 연구자로 정착하기까지의 추가적인 교육‧훈련 과정을 통칭하는 개념으로 이공계 분야에서는 학계 진출을 위한 필수적인 과정으로 자리 잡았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은 신규 박사후연구원의 진입 현황, 소속, 연구과제, 소득 등을 분석함으로써 증거에 기반한 박사후연구원 지원 정책 방향을 제시한 보고서를 발간했다.
‘국내 박사후연구원의 규모와 특성’이란 제목의 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2018년 기준 신규 박사학위자 1만3170명 중 국내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경력을 시작하는 인력은 약 3천명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공계열의 신규 박사는 총 8178명으로 5076명이 학업전념박사이며 학위 취득 이후 박사후연구원으로 경력을 시작하는 이공계 박사는 학업전념박사의 절반에 가까운 약 2300여명 규모다.
이후 1년 여 기간 동안 약 700명이 다른 경력 경로로 이동하여 2년차의 국내 박사후연구원은 약 1600여명이며 해외로 진출하는 박사후연구원은 매년 약 700명 규모로 추산된다고 소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학위 취득 시점에서는 약 39%, 1.5년~2년경과 후에도 약 27%의 박사후연구원이 박사과정 지도교수의 연구실에 계속 머물러 있는 것으로 나타나 새로운 경력 경로 개발 지원이 절실하다고 분석했다.
2000년대 이후 박사 배출은 정부의 지원에 의해 큰 폭으로 증가했지만 학계 일자리 증가는 이에 미치지 못해 신규 박사의 취업 여건이 갈수록 악화되고 있다는 사실이 확인된 것이다.
특히 박사후연구원의 평균 근로소득은 3~4천만원 구간이 전체의 1/3 이상이며 3천만원 미만도 약 30% 수준으로 소득의 현실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번 보고서는 박사후연구원 지원 사업도 다양한 수요에 따라 ▷직업 안정성 제고 ▷인건비 현실화 ▷연구 역량 심화 지원 등 다각화될 필요가 있으며 ▷학위 취득 이전 박사과정에서부터 경력 경로를 고려한 지원 ▷박사후연구원의 지도와 훈련 등 멘토의 책임성에 대한 평가도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했다.
박기범 STEPI 선임연구위원은 “박사후연구원은 이미 학계 지향성이 매우 강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한 산학협력 활동은 효과가 제한적”이라며 “박사과정에서부터 학위 취득 이후의 진로 다양화를 위한 노력과 함께 직업의 안정성 제고와 인건비 현실화 노력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nbgkoo@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