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7월 소재·부품·장비의 공급망 위기가 발생한 이후 우리는 이 위기를 기회로 바꿔 나가고 있다. 정부의 확고한 지원 속에 단기 및 중장기 대책을 기반으로 다양한 정책이 수립돼 시행되고 있다. 벌써 일부 주요 품목에서는 가시적 성과도 나오고 있다. 우리가 살길은 정부 주도 아래 똘똘 뭉쳐 빠르게 대응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최근 코로나19에 대한 정부의 발 빠른 대처 못지않게 소재·부품·장비 공급망 위기에 대한 정부의 대응도 긴급하게 움직였다. 코로나19 상황에서 이러한 글로벌 공급망의 변화는 위기이자 기회가 돼 소재·부품·장비 산업이 더욱 중요해지리라 예상된다.
정부는 지난해 8월 말 핵심 소재·부품·장비 역량 강화를 목표로 연구개발 투자 전략 및 혁신 대책을 발표한 바 있다. 핵심 품목에 대한 진단 및 R&D 대응 전략을 마련하고 단기 집중 투자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중장기적 R&D 전주기 장벽 해소와 국가 R&D 역량 총동원을 위한 과제들이 실행 중이다. 특히 국가 R&D 역량 총동원의 세부 실천과제로 3N(N-Lab, N-facility, N-TEAM) 전략이 추진되고 있다. 아울러 올해 4월에는 소재·부품·장비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특별조치법인 ‘소부장 특별법’도 시행됐다.
짧은 기간이었지만 정부의 집중 지원으로 반도체·디스플레이 핵심 소재의 자립화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니 매우 반가운 소식이다.
그렇지만 국내 자립화를 넘어 글로벌 소부장 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서는 아직도 가야 할 길이 멀어 보인다.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관련 하이테크 소부장 제품을 가진 일본이나 독일의 글로벌 소부장 기업들과 경쟁하기 위해서는 국가적 차원의 중장기적 대책과 함께 첨단기술을 서로 연계하기 위한 관련 기업과 연구기관 협력이 절실하다. 3N, 소부장 융합혁신지원단, 혁신랩 등 다양한 지원 정책이 추진되고 있어 앞으로 기업과 연구기관과 협력은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이 보다 큰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양적 확대와 더불어 질적 수준을 극대화하는 노력이 필수적이다. 즉 각 지원 정책 간 차별성과 연계성을 강화해 단위 공정 및 일괄 공정 테스트베드, 당면 자립기술 지원, 중장기 원천기술 및 애로기술, 시제품 제작 지원 등 기업의 다양한 요구를 빠짐없이 지원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춰야 할 것이다.
특히 연구기관의 첨단 기술 공유와 협력을 통한 글로벌 소부장 기업의 육성은 더욱 중요도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소부장 기업의 기술 수준이 높아질수록 글로벌 수요기업의 기술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기업을 먼저 국내에서 찾아야 한다. 이러한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국내 연구기관은 자체적인 원천기술 개발뿐만 아니라 보유한 첨단 기술을 국내 기업과 공유하고 협력하는 역할에 충실해야 한다.
코로나19 위기 상황 속에서 국내 소부장 기업은 또 다른 기회를 맞고 있다. 글로벌 기업들과 대등하게 경쟁할 수 있는 국내 소부장 기업을 육성할 절호의 기회다. ETRI도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ICT 소재·부품·장비 첨단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연구기관이자 소부장 융합혁신지원단의 일원으로서 디스플레이 패널기술과 초고속 광통신부품 국가연구실(N-Lab)을 중심으로 오픈 R&D 플랫폼을 구축하고 관련 국내 소부장 기업과의 공유·협력을 더욱 확대해 기업 육성에 만전을 기할 것이다.
강성원 ETRI ICT 창의연구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