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영하 170℃로 얼려서 물질 관찰…폭발위험 없는 전고체전지 소재 만든다
UNIST·한양대 연구진, 황화물 고체전해질 원자 수준 이미징 성공
이현욱 UNIST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교수. [UNIST 제공]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국내 연구진이 생체 분자를 손상하지 않도록 얼려서 고해상도 이미지를 얻는 ‘극저온 투과전자현미경’ 기술을 활용해 화재 및 폭발 위험이 없는 전고체전지를 만드는 물질을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이현욱 교수팀은 한양대 정윤석 교수팀과 공동으로 ‘황화합물 고체 전해질’의 구조를 원자 단위에서 분석하는 데 성공했다고 14일 밝혔다. 이 물질은 매우 민감해 전자빔을 쏘면 쉽게 손상되기 때문에 일반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기 어려웠다. 연구팀은 이 물질을 영하 170도로 순식간에 얼리면서 공기와 접촉을 차단하는 새로운 방법을 써서 손상 없이 관찰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리튬이온 배터리에서 이온이 지나는 통로인 전해질은 주로 액체 상태다. 하지만 액체 전해질은 폭발 위험이 크다는 단점이 있어 더 안전한 고체 전해질을 개발해야만 한다. 문제는 고체 전해질에는 원자들이 미로처럼 빼곡히 쌓여 이온이 잘 다니지 못한다는 점이다. 이렇게 이온 전도도가 낮으면 배터리 용량과 수명이 떨어지므로 좋은 배터리가 되지 못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고체 전해질의 복잡한 내부 구조를 분석해 이온이 지나는 길을 정확히 알아야 한다. 그런데 다른 물질보다 이온 전도도가 높아 고체 전해질로 가능성이 큰 ‘황화합물’은 전자현미경으로 분석하기 어려웠다. 황이 전자현미경이 내뿜는 전자빔에 취약해 간접적 방법으로만 내부 구조를 봐야 했다.

대기 비개방 극저온 투과전자현미경 분석법 시편 준비 과정. [UNIST 제공]

이현욱 교수팀은 ‘황화합물 고체 전해질’을 직접 관찰하기 위해 극저온 투과전자현미경 분석법을 도입했다. 극저온 투과전자현미경 분석은 원래 살아 있는 세포나 미생물을 관찰하는 방법인데 이를 배터리 물질 분석에 최초로 적용한 것이다. 액체질소를 이용해 시편을 영하 170도로 순간냉각하면 높은 에너지를 갖는 전자빔을 쏘아도 시편이 손상되지 않는다. 이때 시료는 대기와 닿지 않게 보호하는 대기 비개방 분석법을 활용했다.

연구팀은 다양한 성분을 조합한 황화합물을 합성하고, 열 처리온도를 다르게 한 뒤 이온 전도도를 측정했다. 이 중 이온 전도도가 가장 높은 물질을 극저온 투과전자현미경 분석법으로 관찰하자 육각형 모양의 원자 배열이 확인됐다. 기존에는 분석할 수 없던 물질을 이해하게 된 것이다.

이현욱 교수는 “대기 비개방 극저온 투과전자현미경 분석법은 공기와 접촉을 차단하고 물질의 손상을 막는 기법이라 반응성이 높은 리튬이온 배터리의 다른 구성요소를 관찰하는 데에도 적극 응용될 것”이라며 “이는 가까이 이차전지산업의 교두보 역할을 하고, 멀리 바이오 및 재료과학산업의 발전에 기여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나노 분야 국제학술지 ‘나노 레터스’에 5월 5일자로 공개됐다.

nbgko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