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생활 침해 우려 無…코로나19 확산방지시스템 개발
- KAIST 한동수 교수연구팀, 바이러스 노출 자가진단·확진자 역학조사·격리자 관리 가능
- 스마트폰 앱 기반 신호 실시간 수집, 수집된 정보는 2주 후 자동폐기
스마트폰 블랙박스를 활용해 개발된 확진자 역학조사 시스템, 바이러스 노출체크 시스템, 격리자 관리 시스템. [KAIST 제공]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코로나19 관련 이동경로 공개와 같은 사생활 침해 우려를 불식시킬 수 있는 스마트폰 웹 기반 시스템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전산학부 지능형서비스통합연구실 한동수 교수 연구팀은 스마트폰의 이동 동선을 기록하는 스마트폰 블랙박스를 기반으로 ‘코로나19 감염병 확산방지시스템’을 개발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한 스마트폰 블랙박스 시스템은 스마트폰에 내장돼있는 GPS와 와이파이·블루투스·관성 센서 등을 통해 수집된 신호를 보관했다가 2주가 지나면 자동으로 폐기한다. 또 개인 스마트폰 블랙박스에 저장된 기록은 일체 외부로 유출되지 않으며 특히 확진자의 동선을 공개하는 경우에도 문자로 표현되는 장소 정보가 아닌 신호 정보를 공개하기 때문에 확진자의 사생활 보호가 가능하다.

코로나19 감염병 확산방지시스템은 일반인을 위한 ‘바이러스 노출 자가진단 시스템’과 감염병 관리기관을 위한 ‘확진자 역학조사 시스템’, ‘격리자 관리 시스템’ 등 3개 시스템으로 구분된다.

바이러스 노출 자가진단 시스템은 확진자의 동선과 개인의 스마트폰 블랙박스에 기록된 동선의 중첩 여부를 체크해 이뤄진다. 현재 방식은 확진자의 정보가 메시지를 통해 전달되고 개개인이 직접 확진자의 동선을 확인하는 불편함이 따르지만 이 시스템에서는 사용자가 해당 앱의 버튼을 눌러 바이러스 노출 여부를 쉽고 빠르게 체크할 수 있다.

확진자 역학조사 시스템은 확진자 관련 역학조사를 빠르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코로나19 감염병 확진을 받은 환자의 스마트폰 블랙박스에 기록된 신호를 지도상에 표시를 해주기 때문에 역학 조사관이 확진자의 이동 동선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연구팀은 이 시스템에 지난 10여년간 개발해 온 실내·외 통합 위치 인식시스템 KAILOS(KAIST Locating System)의 기능도 적용했다. 이에 따라 실내지도와 신호지도가 준비된 건물에서는 건물 내부에서도 확진자의 이동 동선을 확인할 수 있다.

스마트폰 블랙박스는 격리자 관리에도 활용된다. 격리자의 스마트폰 블랙박스가 수집한 신호는 주기적으로 격리자 관리 시스템에 전송된다. 격리자 관리 시스템은 전송받은 신호를 실시간으로 분석해 격리자의 격리공간 이탈 여부를 확인한다. GPS 신호뿐 아니라 무선랜 신호를 사용함으로써 실외뿐 아니라 실내에서의 확진자 격리공간 이탈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기존 방식보다 더 정확하게 격리자를 관리할 수 있다다.

신성철 KAIST 총장이 ‘코로나19 감염병 확산방지시스템‘ 데모룸을 방문해 한동수 교수와 연구원들을 격려하고 함께 화이팅을 외치고 있다. [KAIST 제공]

한동수 교수는 “현재 약 30여 종의 스마트폰이 사용되고 있는데 스마트폰마다 탑재된 센서의 종류가 매우 다양해서 연구팀이 개발한 시스템을 다양한 스마트폰에 이식하고 테스트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면서 “이 작업을 마치는 대로 곧 시스템을 출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nbgko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