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규제로 묶이자, 똘똘한 한 채 찾아 회귀
강남 고가부터 노원 중저가까지 매물쇼핑
[헤럴드경제=양영경 기자] 지방의 주요 도시가 규제로 묶이면서 서울에 ‘똘똘한 한 채’를 마련하려는 상경투자가 지난해 막판에 몰린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서울 아파트 매매 건수(1만4060건) 가운데 서울 외 거주자의 매입은 2972건으로 집계돼 21.1%를 차지했다. 이는 지난해 7·10 대책 이전인 6월(21.4%) 수준으로 돌아간 것이다.
'똘똘한 한 채'선호 현상으로 서울 강남권 등에 외지인 매수가 다시 몰리고 있다. 사진은 서초구 반포동 아파트 단지 모습. [헤럴드경제DB] |
서울 아파트에 대한 외지인 매수 비중은 지난해 상반기 20%대 안팎에서 움직이다가 7월부터 하락해 9월 13.8%로 저점을 기록했다. 서울 외 수도권이나 지방의 집값이 뛰면서 상대적으로 서울 주택시장에 대한 관심이 줄어든 시기다.
이후 지방 주요 도시의 집값이 달아오르면서 서울 집값이 ‘저렴해 보이는’ 효과에 더해 규제지역 지정까지 폭넓게 이뤄지면서 외지인 매수 비중은 10월 15.0%, 11월 19.8%, 12월 21.1%로 다시 늘었다. 똘똘한 한 채를 찾아 서울로 회귀하는 흐름이 통계로도 확인된 셈이다.
임채우 KB국민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전국의 주요 지역이 다 규제지역이 돼버리면 투자성이 높은 서울 쪽으로 쏠림이 생길 수밖에 없다”면서 “똑같이 대출·세금 규제를 받게 된 상황에서 서울의 메리트가 부각된 것”이라고 봤다.
특히 강남권에서의 움직임이 두드러진다. 강남구에선 지난해 10월 외지인 매수 비중이 9.8%까지 떨어졌으나 11월 13.2%, 12월 24.0%로 다시 20%대를 회복했다. 서초구의 해당 비중 역시 5~11월 16.1~19.1% 수준을 보이다가 12월 20.7%로 올라섰다.
지난해 11월 강남구 압구정동 초기 재건축단지에 매수세가 붙으면서 일대 주택시장의 분위기가 다시 살아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압구정동에선 조합 설립 이후 매물이 잠길 가능성이 커 미리 재건축 매물을 확보하려는 움직임이 늘었다. 지방의 집값이 올라 강남권 아파트값과 격차가 줄어든 데다 전셋값이 급등하면서 실투자금에 대한 부담이 줄어 수원·용인·부산 등에서도 매물을 구하러 왔다는 게 인근 공인중개사의 설명이다.
여기에 오는 4월 서울시장 보궐선거를 앞두고 재건축 규제가 완화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강남권 전반에 퍼지고 있다.
이춘란 오비스트 총괄본부장은 “지방이 규제지역으로 묶이기 전까지 강남은 6~7개월가량 답보상태를 보였다”면서 “매수하는 입장에서도 대출이 안 돼 고민이 크지만 강남권에선 둔촌주공 분양이 끝나면 한동안 공급이 없을 것이라는 생각에 희소성을 보고 들어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밖에 노원구(22.4%), 서대문구(23.9%), 은평구(26.1%) 등에서 지난해 12월 외지인 매수 비중이 늘어난 점도 눈에 띈다. 이들 지역의 해당 비중은 9~10월만 하더라도 6.7~8.9% 수준이었다. 전셋값 상승에 따라 매맷값과의 격차가 좁혀지고, 중저가 단지의 위로 ‘키 맞추기’가 계속된 영향 등으로 풀이된다.
y2k@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