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이후 완공된 주택은 23.6%에 불과…대부분 아파트·다세대 주택
[헤럴드경제=최정호 기자]서울의 건물 노후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서민들의 주거 공간인 단독주택과 연립주택은 40년이 넘은 곳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1980년대 만들어진 주택, 그리고 소형 빌딩과 학교 등도 안전을 위협했다.
▶수명 한계 다른 건물 상당수=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2019년 기준 서울에서 1979년 이전 지어진 주택은 모두 15만9894호에 달했다. 전체 서울 주택 295여만 호의 5.4%정도가 만든지 40년이 지난 낡은 주택인 셈이다.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서울스카이에서 바라본 서울의 다가구 주택 지역 모습. [연합] |
1980년대 만들어진 30년이 지난 주택 역시 서울에서만 40만호가 넘었다. 전체 서울 주택의 13.6%에 달하는 수치다. 여기에 1970년대 만들어진 15만9000여호까지 더하면 전체 서울 주택의 19%가 만든지 30년이 넘은 고령 주택인 것이다.
빌딩과 학교 등 상업·공공시설물의 노후화도 심각하다. 지난 2016년 서울시 산하 서울연구원이 만든 ‘건축물 재난 안전관리 기본방향 수립’ 보고서에 따르면 서울 건물 6개 중 1개는 수명이 다했거나 노후화가 상당한 수준까지 진행된 상태였다. 서울시 건물 60여만개 중 내용연수 대비 사용연수가 90% 이상인 건축물은 10만 5982개동으로 집계됐다.
특히 단독주택의 노후화가 심각했다. 서울 전체 단독주택 31만5566호 중 30.3%인 9만5631호가 지은지 40년이 넘었다. 또 6만4888호, 20.6%는 30년이 넘었다. 전체 서울 단독주택 절반 이상이 만들어진지 30년 이상된 낡은 주택인 셈이다.
연립주택 역시 노후화가 심각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서울시 연립주택 11만968호 중 3만8909호, 3.1%가 이미 30년이 지난 상태였다. 이 중 4408호, 전체 서울 연립주택의 4%는 40년이나 지났다.
이 같은 노후주택, 그리고 오래된 건물은 안전면에서도 큰 문제점을 안고 있다. 지난 2016년 포항지진, 그리고 서울 용산 건물 붕괴 사고 이후 열린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주최 한 토론회에서는 전국 학교시설의 25%가 2013년도에 이미 30년 이상된 상태였다. 또 서울에서도 전체 건축물의 25%가 30년 이상됐다. 내진설계 미비, 건물 자체 노후화 등으로 안전 자체를 장담하기 힘든 상황이라는 의미다.
▶새 건물·주택 찾기는 하늘에 별따기=반면 2010년 이후 완성된 10년 이하 새 주택은 전체 서울 주택의 23.6%에 불과했다. 2010년 이후 서울에서 매년 5만에서 8만호 내외의 새 주택이 지어진 결과다. 이렇게 늘어난 새 주택은 아파트가 34만3234호, 다세대주택이 32만5883호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전체 주택의 절반이 30년이 넘은 단독주택의 경우 완공 10년 미만 새 주택은 서울에서 사실상 찾아보기 힘든 수준이다. 전체 단독주택 31만5566호 중 4.9%인 1만5573호의 단독주택이 2010년 이후 지어졌다. 연립주택 역시 2010년 이후에는 신규 물량이 매년 1000호 미만으로 줄어들며 10년 미만 주택 수는 7756호에 불과했다.
반면 서울의 신축 주택건설 실적은 하향세가 뚜렷했다. 지난해 서울연구원이 조사한 내용에 따르면 도시재생활성화지역 13곳이 첫 지정된 2015년부터 2019년까지 5년 간 이들 신축 건수는 모두 822건에 불과했다. 신축 비율은 평균 4.1%로, 서울시 일반 저층주거지 신축비율(6.1%)의 67%에 그쳤다.
choijh@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