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내 석유제품 생산 및 수출입 규제 강화
아시아 시장 내 경쟁 및 수출 의존 해소
홍콩의 한 정유공장 [123rf] |
[헤럴드경제=주소현 기자] 국산 석유제품 최대 수입국인 중국이 지난해 수출물량을 줄였지만 국내 정유업계에 오히려 화색이 돌았다. 중국 정부에서 정유사들의 수입뿐 아니라 수출까지 제한하면서 아시아 시장에서 한국 정유사들의 입지가 넓어졌기 때문이다.
중국은 2016년부터 지난 6년간 한국 석유제품 최대 석유제품 수출국이다. 대한석유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석유제품 수출 상대국 1위는 중국으로 전체 수입 물량 중 21.5%를 차지했다. 이는 전년(29%) 대비 28.4% 감소한 수치다. 2020년 중국 민간 정유사들이 경순환유를 수입을 대폭 늘리면서 점유율이 30% 육박하게 늘어났다가 지난해 예년 수준인 20% 초반대로 회복된 셈이다.
이같은 중국의 국산 석유제품 수입 감소는 중국 정부 차원의 석유제품 수입 제한에서 비롯됐다. 중국 정부는 지난해 6월 중국 경순환유 등 석유제품 3종에 수입소비세를 부과했다. 일부 민영 기업들이 중국 국가 표준 미달 연료유를 대량 생산·유통해 환경오염을 유발했다는 게 중국 정부가 이같은 결정을 내린 이유다.
또한 중국 정부는 탄소배출 저감을 위해 소규모 원유정제시설의 설비를 폐쇄하는 등 정유산업의 구조조정을 진행하고 있다. 다음달 베이징 동계올림픽을 앞둔 중국 정부에서 가동률을 70% 이하 수준으로 유지하도록 했다. 정유업계에서는 중국 민간 정유사의 최근 가동률이 지난해 하반기보다 낮은 수준이라고 보고 있다.
이처럼 자국 내 생산을 줄이면서 중국 정부는 석유제품 수입뿐 아니라 수출도 제한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이달 초 중국 상무부는 올해 첫 석유제품 수출 쿼터를 실시하면서 7개 정유사에 석유제품 수출 쿼터 규모를 지난해보다 55% 가량 축소하도록 했다.
중국의 석유제품 수출입이 함께 줄면서 국내 정유사들은 반사이익을 얻고 있다. 아시아 정유 시장을 놓고 국내 정유사들과 경쟁하던 중국의 석유제품 수출이 줄면 역내 공급과잉이 해소되기 때문이다. 국제에너지기구(IEA)나 석유수출국기구(OPEC) 등에서 올해 석유 수요가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넘어설 것이라고 전망하는 상황에서 중국의 수출량이 줄면 국내 정유사들의 정제마진이 높아질 가능성도 크다.
오히려 수출원을 다변화할 수 있다는 면에서 대중국 수출 물량이 주는 것 역시 나쁘지 않다는 시각도 있다. 대한석유협회 관계자는 “중국이 수입을 줄여도 국내 정유사들은 다른 수입처를 찾으면 돼 타격이 없다”며 “요소수의 경우처럼 특정 국가에 수입을 의존하는 것보다 비중을 다변화하는 게 국내 정유업계에 더 유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addressh@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