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일, 광물·탄소포집·수소 분야 경제협력 나서야”
전경련 ‘글로벌 이슈 대응 한·일 협력’ 보고서

미국의 중국 제재와 자국 중심주의가 강화되는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한·일 양국이 광물, 탄소 저감기술, 수소 등의 분야에서 경제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30일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는 대외경제정책연구원에 의뢰한 ‘최근 글로벌 이슈 대응을 위한 한·일 협력방안’ 보고서를 통해 ▷핵심광물 공급망 ▷CCUS(탄소포집·활용·저장) 기술 ▷수소 관련 기술 분야에서의 시너지를 낼 수 있다고 밝혔다. 미국의 중국에 대한 디커플링(탈동조화) 대응 차원에서 IPEF(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 참여국들이 중국을 글로벌 공급망에서 분리하려는 시도가 구체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한·일 양국이 자원 빈국이기 때문에 해외에서 주요 광물 및 원재료 공동개발·조달에 협력할 소지가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 한국 정부가 지난 2월 발표한 10대 전략광물(리튬·니켈·코발트·망간·흑연·희토류 5종)은 지난해 말 일본이 제시한 중요광물과 정확히 일치한다. 2000년대 초반 한국과 일본기업은 해외 광물자원을 공동으로 개발한 경험도 있다.

전경련은 최근 개선된 한·일관계를 활용해 한국이 ‘아시아 CCUS 네트워크’와 같은 다자간 기술협력 플랫폼에 적극 참여하고, 공동사업을 추진해 탄소중립과 같은 국제적 의제에 공동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CCUS 기술은 여러 탄소저감 기술 중 한국이 주요국에 비해 가장 뒤처지는 분야 중 하나다. 한국은 CCUS를 통해 2030년까지 연간 1030만t, 2050년까지 최대 연간 8520만t을 처리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아시아 CCUS 네트워크’는 CCUS 분야에서 기술 주도권을 가진 일본이 지난 2021년 설립한 플랫폼이다. 일본은 탄소중립 목표달성의 일환으로 CCUS 기술을 통해 2050년부터 연간 약 1억2000만t에서 2억4000만t의 이산화탄소를 저장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실천해나갈 국제협력의 전략으로 ‘아시아 CCUS 네트워크’를 통해 CCUS 활용 활성화를 위한 지식공유 및 사업환경 정비에 나서고 있다.

이와 함께 수소 분야에서도 한국은 수소전기차 등 최종 활용분야에서는 상대적으로 강점을 가지고 있으나 생산 및 운송, 기타 인프라 분야에서는 주요국 대비 열위에 있다. 한·일 양국은 모두 향후 탈탄소화를 위해 필요한 수소의 양이 많지만, 자국 내 생산 여건이 좋지 않아 막대한 양의 수소를 해외에서 도입할 계획이다.

지난해 6월 GS에너지와 미쓰이물산의 UAE 블루암모니아 생산 공동프로젝트 사례처럼, 이미 한일 기업 간에는 해외 수소도입 협력의 물꼬가 트인 상황이다. 보고서는 그간 끊겼던 한일 간 정부협력창구를 조속히 복원해 추가 프로젝트 발굴에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민지 기자

jakmee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