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與, 18대 총선 이후 ‘수도권 잔혹사’…내년엔 다를까[이런정치]
총선 승패 가르는 수도권…與, 18대 81석→21대 16석으로
19대 총선, 대통령 지지율 극복 사례…“쇄신 인물 보이지 않아”
외연확장·공천 잡음 최소화 과제…선거제 개편 막판 변수
윤석열 대통령이 14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디지털플랫폼정부 실현계획 보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김진 기자] 22대 총선을 약 1년 앞두고 윤석열 대통령의 국정지지도가 5개월여 만에 30%선 아래로 떨어졌다. 당 지지율은 3·8전당대회를 기점으로 내리 하락세다. 내년 총선을 ‘윤석열 대통령의 얼굴(성과)’로 치르겠다고 공언한 여권이 대통령·여당의 지지율 동반 하락에 비상이 걸렸다.

위기감이 가장 큰 곳은 수도권(서울·경기·인천)이다. 여론이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수도권은 전체 의석의 40% 차지해 총선 승패를 좌우하는 핵심 지역이다. 21대 총선의 승패도 수도권 성적에 따라 엇갈렸다. 당시 민주당은 전체 지역구 253석 중 163석을 차지했는데, 수도권에서 63%에 달하는 103석을 얻었다. 여야 양당에서 “수도권 의석을 절반 이상 가져오지 못하면 총선 필패”라는 말이 나오는 배경이다.

보수정당 수도권 의석, 18대 81석→21대 16석으로

국민의힘의 역대 최대 수도권 의석 수는 2008년 18대 총선에서 기록한 81석이다. 이명박 정부 출범 초기 치러진 당시 총선에서 한나라당은 서울 40석, 경기 32석, 인천 9석을 얻었다. 공천 문제로 한나라당을 탈당한 친박계 정당 친박연대의 경기 1석을 합하면 82석으로 수도권 전체(111석)의 74%를 보수 정당이 차지했다. 전체 지역구 선거에서 통합민주당의 2배에 달하는 131석을 얻었고, 비례대표 합하면 과반 넘는 153석 얻으며 승리했다.

2012년 19대 총선에서 수도권 의석 수는 43석으로 줄어들었다. 이명박 정부 후반부 ‘정부 심판론’이 영향을 미쳤다. 선거 직전 한국갤럽 조사에 따르면 이명박 대통령 지지율은 30% 초반대를 기록했다. 이후 20대·21대 총선에서 국민의힘 수도권 의석 수는 각각 35석, 16석으로 쪼그라들었다. 20대 총선의 경우 계파 간 갈등 끝에 김무성 당시 새누리당 대표가 당대표 직인을 들고 잠적한 ‘옥새 파동’으로 대표되는 공천 잡음이 터져 나온 게 패배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를 받았다.

문재인 정부 후반부 21대 총선은 진보층 이탈을 부른 조국 사태, 양당 체제하에 치러졌음에도 불구하고 수도권에서 의석을 대거 빼앗기면서 참패했다. 코로나19 사태가 한창이던 당시 ‘정국 안정’ 여론이 힘을 입으면서 문재인 대통령 국정 지지도가 상승세를 타기 시작해 총선 직전 56%까지 상승했다. 그 시기 정당 지지도는 민주당 41%, 자유한국당 23%를 기록했다.

2016년 김무성(왼쪽) 당시 새누리당 당대표와 서청원 최고위원.
野약세 누린 18대…쇄신 선택받은 19대

18대·19대 총선은 대통령 지지율이 선거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 사례다. 18대 총선 당시 대통령 지지율은 하락세였지만 야당의 약세로 반사이익을 봤다. 당선 직후 70%를 넘어서던 이명박 당시 대통령의 지지율은 총선 직전 38.1%까지 떨어지며 추락에 가까운 하락세 보였음으나, 정권 초기 허니문 분위기가 작용했다. 그 시기 한나라당 지지도는 통합민주당(14.5%)의 3배 수준인 42.1%다. 18대 총선 역대 최저 수준의 투표율(46.1%)도 여당이 승리한 배경 중 하나다. 정치 불신이 짙어지면서 유권자들이 투표장을 찾지 않았다는 분석이 나왔다.

반면 19대 총선은 당의 쇄신 노력이 정권 심판론을 극복한 사례다. 수도권 의석은 18대 총선 대비 절반 수준에 그쳤지만 전체 의석으로 보면 새누리당에 흡수된 자유선진당의 지역구 3석을 포함해 보수 정당이 130석을 얻었다.

여기에는 박근혜 당시 비상대책위원장의 중도 확장 전략이 작용했다. 정권 심판론에 위기감을 느낀 한나라당은 박근혜 비대위 체제를 꾸렸고, 박근혜 위원장이 김종인 선대위원장을 영입하는 승부수를 띄우고 이준석을 비대위원에 발탁하며 ‘청년 정치’ 신호탄을 알렸다. 당명을 새누리당으로 바꾸고 당시로선 파격적으로 빨간색을 당색으로 내세우며 대대적인 이미지 쇄신 작업에 나선 끝에, 총선 직전 인 3월 한 달간 당 지지율이 막판 상승하며 33%까지 올랐다. 야권인 민주통합당과 통합진보당의 지지도 합계보다 높은 수준이었다.

2012년 한나라당 박근혜 비대위원장과 김종인 선대위워장, 이준석 비대위원.
외연 확장·공천 성공이 과제…변수는 선거제 개편

22대 총선을 앞두고도 수도권의 중요성은 부각된다. 늘어난 인구에 수도권 의석이 7석 늘어난 128석이 될 것이란 전망까지 나온다. 수도권 선거 승리를 위해서는 ‘외연 확장’과 ‘공천 잡음 최소화’가 대표 과제로 꼽힌다. 전국 인구의 과반 이상이 있는 수도권은 정치 성향이 뚜렷하지 않은 중도층·무당층이 집중된 만큼 중도층 외연 확장과 맞닿아 있다. 지난 7일 임기를 시작한 윤재옥 원내대표는 수도권 선거 전략을 묻는 질문에 “결국 중도층의 민심을 어떻게 확보할 것인가(의 문제)로 생각한다”고 답한 바 있다.

엄기홍 경북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쇄신 전략이 없이 여당의 지지율 반등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19대 총선에서 박근혜 비대위원장의 역할을 할 만한 인물이 현재로서 보이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공천은 적재적소에 적합한 인물을 배치할 경우 중도층과 전통 지지층을 모두 잡을 수 있는 무기지만, 자칫하면 당 내 분란으로 번지는 문제다. 이미 여권은 3·8전당대회 윤심(尹心) 논란이 20대 총선 친박(친박근혜계)과 비박 간 계파 갈등을 떠올리게 한다는 지적을 받았고, 내년 총선 ‘검사 공천설’을 놓고 영남권을 중심으로 우려가 감지됐다. 김기현 대표는 10일 “특정 직업 출신이 수십명씩 대거 공천받는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일축한 상태다. 한 당 관계자는 “옥새 파동과 같은 사태는 다신 없을 것”이라면서도 “공천 방식과 낙천(落薦)자들의 승복 여부에 따라 이번에도 결과가 크게 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총선 셈법의 변수는 현재 논의가 진행 중인 선거제 개편 문제다. 여야는 앞서 ▷도농복합형 중대선거구제+권역별·병립형 비례대표제 ▷소선거구제+권역별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개방명부식 대선거구제+전국·병립형 비례대표제 3가지 안을 전원위에서 논의했고, 최종 합의안을 마련하는 작업을 남겨놓고 있다. 다만 엄 교수는 “전원위가 사실상 빈손으로 끝났다”며 “선거구제 개편 전망은 비관적”이라고 말했다.

국회 전원위원회 회의가 13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국회의사당 본회의장에서 열리고 있다. 임세준 기자
soho0902@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