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철근 누락 아파트’ 헐고 다시 짓는다?…무량판 사태의 모든것 [박일한의 住土피아]
일부 지하주차장 ‘전단보강근’ 부실이 문제
아파트 전체 ‘철근’ 부실시공은 아냐
시공사에만 책임 물어선 안돼
막연한 불안감 느낄 필요 없어
감리 등 대책마련에 더 집중해야

[헤럴드경제=박일한 기자]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발주한 91개 아파트 단지 ‘무량판 구조’ 지하주차장 중 철근이 누락된 단지가 15곳이나 된다는 사실은 충격적입니다. 얼마 전 발생한 GS건설 인천 검단신도시 아파트 신축 현장 지하주차장 붕괴 사고가 우연이 아니었구나 생각하게 만듭니다. GS건설 인천 검단신도시 아파트 현장도 LH가 발주했죠.

무량판 구조는 애초 ‘원가절감형’ 공법으로 개발됐습니다. 상대적으로 두껍게 시공한 천장을 기둥과 바로 연결하는 공법인데요. 보(beam·대들보)를 사용하지 않아 내부 공간이 넓고 공기를 줄일 수 있다고 합니다. 건설사 입장에선 기존 ‘기둥식 구조’(라멘구조로 불리며 수평으로 설치한 보에 기둥을 설치)나, ‘벽식 구조’(기둥 없이 벽이 천장을 받치는 형태) 보다 비용이 덜 드는 게 매력적입니다. 수평으로 지지해주는 보가 필요없고 공사과정에 필요한 ‘거푸집’ 등이 적게 들어가니 공사비가 덜 드는 겁니다. 실제 LH는 2017년부터 이 기술을 현장에 적용했고, 연간 750억원 이상 공사비를 절감했다고 합니다.

문제는 안전성입니다. 이 구조는 애초에 기둥 접합부가 취약하다는 지적을 받았습니다. ‘내력벽’이나 수평으로 지지해주는 보가 없이 뾰족한 기둥만으로 천장을 받쳐야 하니 기둥이 천장과 닿는 부분이 취약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 부위에서 소위 ‘펀칭현상’이 생길 우려가 크다고 하는 건데요. 기둥과 맞닿는 부위에 하중이 집중되면서 균열이 일어나고 뚫리며 붕괴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그래서 그 맞닿는 부위에 철근을 보강하는 게 필수인데, 그걸 ‘전단보강근’이라고 합니다.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이 지난달 3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LH 무량판 구조 조사 결과를 브리핑하고 있다. [연합]

▶‘순살 아파트’, ‘찰흙아파트’가 맞나?= 여기서 사람들이 불안해 하는 한 가지 사실을 짚을 필요가 있습니다. ‘순살아파트’니 ‘찰흙 아파트’니 자극적인 문구로 이번 사태가 알려지고 있지만, 정확한 팩트는 지하주차장을 지을 때 전단보강근을 제대로 설치하지 않은 곳이 15군데였다는 겁니다. 전체 아파트를 지을 때 들어가야 할 철근이 빠진 게 아니라, 지하주차장에서 기둥과 천장이 맞닿는 부위에 철근 보강을 제대로 하지 않은 현장이 15군데였다는 겁니다.

이걸 마치 모든 아파트 시공에서 철근이 빠졌다는 식으로 이해해선 안됩니다. 이는 현장별 ‘보강비용’을 보면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번 적발된 15개 현장에 각각 보강비용으로 책정된 금액은 작은 곳은 2000만원(파주운정3) 수준이고 가장 많은 곳도 8억900만원(양주회천A15) 수준입니다. 수백에서 수천가구 아파트 단지에 철근이 누락된 걸 보강하는 비용이라면 결코 이 정도 금액으로 해결되진 않을 겁니다.

진짜 심각한 건 ‘전단보강근 시공도 제대로 하지 않은 건설사인데 다른 건 제대로 했을 리 있겠나?’ 의심이 커진다는 사실입니다. 건설사를 믿을 수 없다는 겁니다. ‘우리 아파트도 불안하다.’, ‘전수조사해라’ 목소리가 커집니다.

GS건설은 이런 분위기에 따라 문제가 된 검단신도시 아파트를 5500억원을 들여 전면 재시공하기로 했습니다. 이번에 문제가 된 15군데 아파트 현장도 전면 재시공을 해야 하는 게 아니냐는 주장까지 나옵니다. 붕괴됐던 삼풍백화점까지 소환되면서, 정말이지 전국민적인 패닉 상태에 빠진 것처럼 보입니다.

▶천문학적인 시공사 책임 정당한가?= 커다란 손실을 입게 될 시공사들은 결국 전체 사업을 총괄한 발주처인 LH, 잘못된 설계서를 제시한 설계사, 엉터리 감리를 한 감리사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할 수밖에 없을 겁니다. 혼자 독박으로 책임을 지는 건 억울하다고 느낄 게 뻔해서입니다. 당연합니다. 잘못한 만큼 각자 책임을 져야겠죠.

여기서 하나 짚고 싶은 게 있습니다. 전문가들의 말을 종합하면 무량판 구조 지하주차장 철근 누락이 발견됐다고 아파트 전체를 새로 짓는 건 사실 터무니없는 결정이라고 합니다. 요즘이 어떤 시대입니까. 불안하면 정밀안전검사를 하면 됩니다. ‘엑스레이’로 인체를 들여다 볼 수 있는 것처럼 건축물 내부도 ‘비파괴검사’를 통해 꼼꼼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철근누 락은 물론 내부 균열 등 면밀히 확인할 수 있고, 콘크리트 압축 강도 등 건축물 안전과 관련된 다양한 검사를 할 수 있습니다. 찝찝하다고 멀쩡한 건축물을 부수는 건 사실 ‘비이성적’입니다.

인천 검단신도시 아파트 지하주차장 붕괴 사고와 관련해 시공사인 GS 건설이 사고가 난 아파트 단지 전체에 대한 전면 재시공 계획을 밝혔다. 재시공 계획 단지는 총 17개동, 1666가구에 달해 최소 5500억원 이상 손실이 발생한다. [연합]

온라인 괴담 중에는 지하주차장 위로 아파트 주거동이 올라와 있는 경우 주저앉을 수 있다고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는데요. 건축 구조설계 전문가들은 전혀 걱정할 필요가 없다고 합니다. 만약 지하주차장 위에 고층 아파트가 세워져 있는 구조의 단지라면 설계를 할 때 하중을 분산해 건설한다고 합니다. 주동이 받는 하중과 지하주차장 하중을 별개로 작용하게 골조를 시공 한다는 겁니다. 여기에 지진이 발생할 경우를 대비한 ‘지진하중’까지 추가로 고려해 설계합니다. 우리나라는 2016년 경주 지진 이후 2017년 2월부터 3층 이상 또는 500㎡ 이상 모든 건축물에 내진 설계를 의무화했죠. 한마디로 쉽게 무너질 건축물이 아니라는 겁니다.

▶무량판 구조는 다 나쁜가?= 국토부는 향후 전국에 무량판 구조를 적용한 아파트 293곳을 전수조사하겠다고 합니다. 이중 몇몇 단지는 지하주차장 뿐 아니라 아파트 주거동도 무량판 구조로 지었다고 해서 입주자나 입주예정자들을 더 불안하게 하는데요. 설계도를 다시 한번 확인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자세히 보면 대부분 아파트 주거동은 100% 무량판 구조가 아닙니다. 벽식과 무량판을 혼합한 형태가 대부분이죠. 무량판으로 지으면 층고를 높일 수 있고, 층간소음이 덜하기 때문에 부분적으로 적용한 형태가 대부분입니다. 건설사들은 한때 이런 장점을 내세우며 무량판 구조로 시공했다는 걸 홍보에 활용하기도 했는데 부분적으로 적용한 만큼 불안해 할 필요가 없다는 겁니다.

엄밀히 말하면 무량판 구조는 그 자체로 잘못이 없습니다. 전단보강근만 제대로 설치하면 아무 문제가 안됩니다. 제대로 지어서 안전하게 사용하고 있는 무량판 구조 건축물이 백화점 등 상업시설엔 무수히 많습니다. 진짜 문제는 전단보강근을 설계에서 빼먹고, 시공에서 건너뛰고, 감리가 이를 제대로 확인하지 못하는 시스템입니다.

누군가는 정부가 무량판 구조에 대한 불안감을 확산 시키는 데 일조하고 있다고 비난하더군요. 일부 무량판 구조 시공 결함을 대한민국 아파트 전체의 문제처럼 느끼도록 국토부가 공포 분위기를 조장하고 있다고요. 정부는 오해가 없도록 무량판 구조 건축물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전달해 국민들의 막연한 불안감을 줄일 수 있도록 노력했으면 합니다. 감리 체계를 강화하는 등 제대로 된 재발 방지대책에 집중하는 건 물론이고요.

jumpcut@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