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네이버 10년 책임질 초대규모AI·클라우드 사업 전초기지’…‘각 세종’ 가보니
아시아 최대 규모 데이터센터…“글로벌 톱3” 자신
축구장 41개 크기…60만 유닛 서버 수용 가능
자체 개발 공조 시스템·로봇자동화시스템 등 갖춰
각종 재해에도 대비…7.0 지진도 견뎌
각 세종 관제센터 모습. [네이버 제공]

[헤럴드경제=박혜림 기자] “앞으로 10년 그 이상의 미래를 내다보고 설계한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 ‘각 세종’은 네이버 뿐 아니라 모든 산업과 기술 혁신의 엔진이 될 것입니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세종특별자치시에서 열린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 각 세종 오픈식에서 이같이 공언했다. 네이버와 네이버클라우드, 네이버랩스 등 ‘팀네이버’의 역량을 한 데 모은 각 세종을 기반으로 향후 기술 혁신을 선도하고 AI·클라우드 중심의 비즈니스 확대를 가속화하겠다는 계획이다.

팀 네이버는 지난 6일 각 세종의 본격적인 가동을 알리며, 각 세종을 소개하는 오픈식을 개최했다.

네이버 각 세종 전경. [네이버 제공]

각 세종은 지난 2013년 오픈했던 첫 데이터센터 ‘각 춘천’에 이은 네이버의 두 번째 자체 데이터센터다. 축구장 41개 크기인 29만4000㎡ 부지 위에 국내 최대 수준인 60만 유닛(Unit)의 서버를 수용할 수 있는 인프라를 갖췄다. 수전 용량도 각 춘천의 6.75배인 최대 270MW 전력이 공급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단일 기업이 가진 데이터센터로는 국내를 넘어 아시아 최대 규모 수준이다. 여기에 네이버가 지난 10년간 무중단·무사고·무재해로 각 춘천을 운영해온 노하우와 AI, 클라우드, 로봇, 자율주행 등의 첨단 기술 역량이 결집됐다.

각 세종은 현재 6분의 1만 문을 연 상태였다. 현재 약 10만 유닛의 서버를 수용 중이지만 총 3단계에 걸쳐 현재의 6배 규모로 확장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1단계 투자비용만 6500억 가량 쏟아 부었으며 최종적으로는 조 단위의 비용이 투입될 것으로 예상된다.

각 세종 오픈식에서 인사말을 하는 최수연 네이버 대표. [네이버 제공]
각 세종 밋업 행사에서 질문에 응답하는 김유원(가운데) 네이버클라우드 대표. [네이버 제공]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는 “최근 소버린AI, 소버린 클라우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다양한 국가와 산업의 고객들을 만나는데, 네이버의 AI 기술력 뿐 아니라 데이터센터의 규모와 안정적인 운영 역량에도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면서 “각 세종은 다양한 산업으로 뻗어 나가는 AI·클라우드 비즈니스의 전초기지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노상민 네이버클라우드 데이터센터 통합 센터장은 이날 오픈식에서 각 세종의 글로벌 경쟁력에 대해 묻는 기자의 질문에 “저희 입으로 말씀드리긴 조심스럽지만, 각 춘천 10년의 노하우를 한 데 모은 각 세종은 감히 글로벌 톱3에 꼽히는 데이터센터라 말씀드리고 싶다”며 상당한 자신감을 드러냈다.

각 세종 서버실. [네이버 제공]

실제로 이날 노 센터장의 인솔에 따라 살펴본 각 세종은 팀 네이버의 자신감이 허황된 것이 아님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각 춘천과 마찬가지로 친환경·고효율 데이터센터를 표방하는 각 세종은 외부에서 부는 바람을 활용해 서버실의 기온을 21~25도 수준으로 유지하고 있었다. 네이버가 자체 개발 공조 시스템인 ‘NAMU’(Naver Air Membrane Unit) 설비를 통해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를 ▷외기댐퍼 ▷에어필터 ▷멤브레인 ▷프리쿨링 ▷냉각 단계 등을 통해 적정한 온도로 낮춰 활용하고 있다. 서버실 폐열마저도 온수나 바닥 난방, 내부 도로의 스노우 멜팅 시스템에 적용해 활용 중이라고 했다.

노 센터장은 “기존 각 춘천의 경우 U자 형태의 NAMU2 설비를 구축해 냉동기를 쓸 때 대비 73%의 에너지 효율을 이뤘지만, 각 세종은 일자형 NAMU3 설비를 구축한만큼 이보다 더 높은 에너지 효율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각 세종의 공조시스템 NAMU3. [네이버 제공]

이어 방문한 A1 GPU 서버실은 옆 사람과의 대화를 나누기 힘들 정도로 요란한 소음을 내는 서버들로 가득차 있었다. 아직 40%만 채운 상태라는 서버실은, 그럼에도 한 열에 24개씩 보이는 것만 수백개의 거대한 ‘서버 장벽’들이 서있었다. 노 센터장은 이 가운데 일부가 네이버의 초거대AI(인공지능) 하이퍼클로바X를 학습시키는 GPU 서버라고 귀띔했다. 서버실은 서늘한 공기가 맴돌았지만, 서버 장벽 사이를 지날 때엔 후끈한 열기가 느껴져, NAMU3의 기술력을 새삼 실감케 했다. 노 센터장은 “홀 전체에 찬공기가 더욱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게 큰 케이블 등은 전부 천장으로 옮겨 더운 열기를 빨리 밖으로 배출하도록 구성했다”고 설명했다.

각 세종 창고에서 세로(왼쪽)와 가로 로봇이 서있는 모습. [네이버 제공]

각 세종은 네이버랩스의 로봇자동화시스템 기술력도 한 자리에 볼 수 있는 또 하나의 1784이기도 했다. 각 춘천의 경우 창고 내 서버들을 사람이 직접 운반하고 출납하고 이 과정에서 로봇은 보조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데 지나지 않지만, 각 세종은 사람의 개입이 전혀 이뤄지지 않았다. 자유롭게 공간을 누비며 최대 400㎏의 고중량 자산(서버)을 운반하는 ‘가로’와 키측정기처럼 생긴 3m 가량의 ‘세로’가 데이터센터 IT 창고의 핵심 자산인 서버를 관리했다. 특히 가로는 건물 전체 시스템및 서비스 인프라 등과 실시간으로 연동돼 엘리베이터 등도 오르내릴 수 있다고 네이버랩스 관계자는 설명했다.

미디어 투어 행사에서 각 세종에 대해 설명하고 있는 노상민 네이버클라우드 센터장. [네이버 제공]

이밖에 각 세종은 재해 등에 만발의 준비를 갖춘 점도 인상적이었다. 130여명이 상주하는 가운데 이날에만 20여명의 직원들이 관제센터에서 각 세종의 상황을 실시간 모니터링 중이었다. 노 센터장은 “원자력 발전소 수준의 건물에 적용하는 특등급의 내진 설계를 건물 구조체 뿐 아니라 서버랙 단위까지 전체 적용해 일본 후쿠시마 지진 강도에 해당하는 진도9.0, 규모 7.0 수준의 지진에도 버틸 수 있게 했다”면서 “화재나 갑작스러운 전력 공급 중단 등도 충분히 대비했다”고 말했다.

rim@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