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위내 지방 국립대병원은 전무
의료서비스 수도권 쏠림현상 심각
세계 최고 수준의 병원으로 평가받은 국내 17개 병원 중 16개 병원이 모두 수도권에 위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 서비스의 수도권 쏠림 현상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국내 병원 다수가 세계적 수준으로 인정받은 성과에 대해서는 호평이 이어지고 있지만, 이들 병원이 압도적으로 수도권에 집중돼 있어 국내 의료 서비스의 지역 간 격차를 고스란히 드러냈다는 지적이 의료계 안팎에서 나오고 있다. 순위에 오른 병원 중 절반가량이 지방(비수도권) 소재 병원인 일본과도 대조된다.
5일 미국 시사 주간지 뉴스위크가 홈페이지에 공개한 ‘2024 세계 최고 병원(World’s Best Hospitals 2024)‘ 순위에 따르면, 총 250위 병원 내에 17개의 국내 병원이 순위 안에 이름을 올렸다.
서울아산병원이 22위로 가장 높았다. 이어 ▷삼성서울병원(34위) ▷세브란스병원(40위) ▷서울대병원(43위) ▷분당서울대병원(81위) ▷강남세브란스병원(94위)이 100위 안에 들었다.
대구 남구에 위치한 대구가톨릭대병원 [헤럴드DB] |
이외에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104위) ▷아주대병원(120위) ▷인하대병원(148위) ▷강북삼성병원(152위) ▷고려대 안암병원(160위) ▷가톨릭대 여의도성모병원(170위) ▷경희대병원(208위) ▷중앙대병원(214위) ▷건국대병원(222위) ▷이화여대의료원(서울병원·목동병원, 225위) ▷대구가톨릭대병원(235위)도 250위 안에 올렸다. 총 17개 병원이 세계 유수의 의료기관과 어깨를 나란히 한 것이다.
문제는 수도권 쏠림 현상이다. 순위에 든 병원 중 수도권 밖에 있는 병원은 대구가톨릭대병원에 불과하다. 지방 국립대병원, 즉 거점국립대병원 중 250위권에 든 병원은 한 곳도 없었다.
수도권 내에서도 분당서울대병원, 아주대병원, 인하대병원 등을 제외한 병원은 모두 서울에 집중돼 있었다.
일본의 상황은 크게 달랐다. 우선 일본은 한국보다 적은 15개 병원이 순위에 들었다. 하지만 이 중 7곳은 수도권 외부에 위치한 병원으로 집계됐다.
예를 들어, 가장 순위가 높은 도쿄대병원(18위·도쿄)과 그 다음인 세이로카국제병원(24위·도쿄), 가메다메디컬센터(45위·지바)는 수도권에 있는 병원이다.
규슈대병원 전경 [규슈대병원 홈페이지] |
반면 ▷규슈대병원(69위·후쿠오카) ▷나고야대병원(86위·아이치) ▷교토대병원(96위·교토) ▷오사카대병원(172위·오사카) ▷구라시키중앙병원(177위·오카야마) ▷홋카이도대병원(206위·홋카이도) ▷고베시메디컬센터(224위·효고) 등이 수도권 밖에 위치한 병원이었다.
비수도권 병원 중에서도 구라시키중앙병원과 고베시메디컬센터를 제외한 5곳이 ‘지방 국립대병원’이었다.
의사 구인난에 시달리며 서울의 ‘빅5 병원’으로 지역 환자가 유출되고 있는 한국의 지방 국립대병원 상황과 대조적이다. 일본은 ‘의사 지역정원제’ 등을 도입하며 지역의 거점국립대병원에 꾸준한 인적·물적 투자를 하고 있다. 이런 점이 지방 국립대병원의 약진을 이끈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2월 6일 ‘의대 정원 2000명 확대’를 발표하며 지역 국립대 중심의 증원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교수와 전공의 등 해당 대학 의료진과 의대생들은 반대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정부는 최근에는 지역의 거점국립대의대 교수를 현재 1200~1300명 수준에서 2200~2300명으로 2배 가까이 늘리겠다고 발표하며 지방 국립대병원을 집중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뉴스위크는 2019년부터 글로벌 조사 기관인 스타티스타(Statista)와 협력해 매년 세계 최고 병원 순위를 발표하고 있다. 이번에 세계 1위 병원은 미국 메이요클리닉이었다. 미국 클리블랜드클리닉과 캐나다 토론토종합병원이 각각 2~3위를 차지했다.
평가는 30개국 8만5000명 의료 전문가의 온라인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이뤄진다. 평가 항목은 전문가 ▷설문조사 결과(45%) ▷의료 성과 지표(35.25%) ▷환자 만족도(16.25%) ▷환자 건강 상태 자가 평가 시행 여부(3.5%) 등이 포함됐다. 손인규 기자
ikson@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