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연구를 수행한 유승화(가운데) 전북대 교수 연구팀.[전북대학교 제공] |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하천에 유입된 항생제 등 수중 오염물질 제거와 물을 이용한 친환경 수소 생산의 효율을 높일 복합 광촉매 제조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연구재단은 전북대학교 유승화 교수 연구팀이 이중층 수산화물(LDH)과 공촉매 맥신(MXene)을 결합해 성능을 극대화한 복합 광촉매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광촉매(photocatalyst)는 빛에너지를 흡수해 광화학 반응을 개시하고, 광화학 반응을 촉진하는 화합물이다.
최근 물속 유기오염물 제거와 청정 수소에너지 생산 등 환경·에너지 분야에서 다양한 광촉매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 활성이 우수하지 못해 실제 활용은 어렵다.
광촉매의 활성을 높이려면 이종의 나노소재가 접합하는 계면에서 효율적인 전하 수송과 충분한 수송 채널, 그리고 높은 활성점을 확보해야 한다.
연구팀은 코발트(Co)와 철(Fe)을 결합한 이중층 수산화물(LDH)과 티타늄(Ti)과 탄소(C)를 결합한 ‘Ti3C2 맥신’을 합성한 후, 이들을 크롬(Cr) 전구체와 수열합성하는 새로운 광촉매 제조법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코발트·철-이중층 수산화물(CoFe-LDH) 표면에서 코발트철크롬산화물(CoFeCrO4) 나노입자들이 동시에(in-situ) 성장함을 확인했다.
태양광과 이중층 수산화물/맥신 복합 광촉매를 이용한 항생제 분해 및 물 분해 수소생산.[전북대학교 제공] |
이들 이종접합(CoFe-LDH/CoFeCrO4) 계면에는 쇼트키 장벽(Schottky barrier)이 형성돼 광생성 전하 수송체의 분리 효율이 증가했다.
또 이종접합(CoFe-LDH/CoFeCrO4)과 Ti3C2 맥신은 결합 후 복합 광촉매로서 적합한 전자밴드구조를 형성하고, 충분한 활성점을 제공했다.
유승화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 개발한 복합 광촉매는 환경·에너지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적용이 기대된다”며 “실용화의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기판, 팰렛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추가 연구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지역대학우수과학자와 기초연구실 지원사업으로 수행된 이번 연구 성과는 공학·재료과학 분야 국제학술지 ‘컴퍼지트스 파트 비: 엔지니어링(Composites Part B: Engineering)’에 4월 1일 온라인 게재됐다.
nbgkoo@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