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AIST 개발 안보·재난·재해 대응 지구관측 실용위성
- 3년간 500km 상공서 해상도 약 1m급 광학영상 공급
- 2027년부터 총 11기 위성을 군집형태로 운영 활용
초소형 군집위성 1호가 24일 뉴질랜드 마히아 발사장에서 로켓랩의 로켓에 탑재돼 발사되고 있다.[과기정통부 제공] |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우리나라가 독자개발한 첫 번째 양산형 초소형 군집위성이 우주로의 발사에 성공했다.
초소형군집위성 1호는 24일 오전 07시 32분초(현지시간 오전 10시 32분)에 뉴질랜드 마히야 발사장에서 로켓랩의 ‘일렉트론(Electron)’ 로켓에 탑재돼 지구를 힘차게 이륙했다.
발사 약 50분 후인 오전 8시 22분경 정상적으로 발사체와 분리됐다.
당초 오전 7시 8분 57초 발사 예정이었으나 다른 우주비행체와의 충돌 위험으로 발사 시간이 오전 7시 23분으로 미뤄졌다.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초소형 군집위성 1호를 실은 로켓랩의 일렉트론 로켓은 1단 엔진과 페어링, 2단 엔진 분리 등 발사 과정을 순조롭게 마치고, 킥 스테이지를 이용해 위성을 최종 궤도에 투입한 것으로 확인됐다.
일렉트론 로켓에서 초소형 군집위성 1호가 분리되고 있는 모습.[과기정통부 제공] |
초소형 군집위성 1호는 지구를 두 바퀴가량 돈 뒤 오전 11시 55분경 대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 있는 지상국과 교신에 나선다.
초소형 군집위성(총11기)은 한반도 및 주변 해역을 고해상도로 정밀 감시하고 국가안보 및 재난·재해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해 2020년부터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과기정통부의 지원을 받아 개발한 지구관측 실용위성이다.
초소형군집위성 1호와 발사체 결합된 모습.[과기정통부 제공] |
이번에 발사된 1호는 군집 운영에 앞서 위성의 성능과 관측 영상의 품질을 확인한 후 약 3년간 500km 상공에서 해상도 약 1m급 광학 영상을 공급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와 KAIST는 2026~2027년에 각5기를 한국형 발사체인 누리호로 발사할 계획이며, 2027년 하반기부터 총 11대의 위성을 군집의 형태로 운영·활용할 예정이다.
초소형 군집위성 1호 비행 상상도.[과기정통부 제공] |
이창윤 과기정통부 제1차관은 “후속 위성들도 차질없이 개발, 향후 군집 운용을 통해 안보·재난·재해 등 국가 위기관리 능력을 고도화하는데 활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광형 KAIST 총장은 “초소형 군집위성 1호의 개발과 제작은 KAIST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쎄트렉아이 등 산학연 협력을 통해 완성됐다”면서 “이번 초소형 군집위성의 성공적인 발사는 대한민국 우주기술의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리는 지름길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nbgkoo@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