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100% 국산화 도전장”…‘국가 수소 중점연구실’ 5개 출범
- 개방적·목표지향적 수소 생산기술 R&D 본격 추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연구진이 블루수소 생산을 위한 이산화탄소 농축 시스템을 살펴보고 있다.[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제공]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7일 국가 수소 중점연구실을 출범하고, 수소 생산기술 R&D 추진 방향을 논의하고자 산학연 전문가 100여명이 참여한 청정수소 생산기술 혁신포럼‘을 개최했다.

최근 EU 탄소국경조정제도(CBAM)가 시행되는 등 글로벌 탈탄소화 기조가 강화됨에 따라, 주요국은 다양한 무탄소 에너지원의 도입을 확대하고 기술개발과 산업화를 위한 속도를 높이고 있다. 특히 청정수소는 생산 또는 연료로 활용하는 과정에서 온실가스가 발생하지 않고, 장기간 대용량 저장과 장거리 이송이 가능한 장점이 있어 차세대 에너지 화폐로서 주목받고 있다.

과기정통부는 ‘수소기술 미래전략’을 바탕으로, 청정수소 국가 연구역량을 결집하여 기술경쟁력을 확보하고자 5대 분야 ‘국가 수소 중점연구실’을 출범하였다.

국가 수소 중점연구실은 분야별 기술개발 로드맵을 제시하고 개별 과제 단위로 추진되던 수소 기술개발 성과를 한데 모으는 중심 조직이자, 연구성과를 기업 등 수요자에 공유하고 국내에서 개발된 기술을 검증할 수 있는 개방적인 혁신 플랫폼으로서 운영된다.

▷알칼라인 수전해 ▷고분자전해질(PEM) 수전해 ▷고체산화물 수전해 ▷음이온교환막 수전해와 더불어 차세대 수소 저장‧운반 기술인 ▷액상유기수소운반체 등 5개 핵심기술 분야는 국가 수소 중점연구실로 선제적으로 지정하여 운영할 계획이다.

알칼라인 수전해와 고분자전해질(PEM) 수전해 분야는 기술 수준이 높고 단기간 내 상용화가 가능한 점을 고려하여, 실증 인프라가 구축된 정부출연연구소를 중심으로 3개 기관을 지정하였다. 이들 분야의 국가 수소 중점연구실은 수전해 시스템을 구성하는 요소기술 중 공백 기술을 분석하고, 이를 확보하기 위해 개별 연구기관이나 기업과 공동연구를 중점 진행할 예정이다.

국내외에서 본격 상용화되지 않아 글로벌 선도가 가능한 고체산화물 수전해, 음이온교환막 수전해, 액상유기수소운반체 분야는 시스템을 구성하는 요소 기술별 연구역량이 뛰어난 연구그룹 간 컨소시엄 형태로 구성하여, 세계 최고 수준의 핵심기술을 확보하고 대용량 시스템을 조기에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원천 기술개발을 추진한다.

이창윤 과기정통부 1차관은 “과기정통부는 국가 에너지 자립률 향상과 무탄소 에너지 사회로의 전환에 기여하고자 수소 기술개발에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면서 “오늘 포럼을 시작으로 각계 전문가 여러분과 청정수소 생산기술 혁신 방안을 지속 논의하고, 정부 지원이 효율적인 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nbgko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