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정당 건설을 목표로 연석회의를 진행하는 민주노동당과 진보신당 등 진보진영의 정책합의 시한(26일)이 다가오면서 야권 내 통합론의 진로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진보진영이 정책합의에 성공하면 진보진영 통합과 야권 재편이 빨라질 전망이지만 반대의 경우에는 통합론의 동력이 약화되거나 중심축이 아예 민주당으로 이동할 수 있다.
진보진영 연석회의는 통합정당 건설의 토대가 될 정책합의문을 채택하기 위해 최대 쟁점인 북한의 권력승계와 민주당 등과의 연대ㆍ연합 ‘문제 등을 놓고 막판 협상을 진행 중이다.
이 협상에서 북한의 3대 세습 문제에 대해 진보신당과 사회당은 “분명한 반대입장을 표명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민노당은 “북한 문제에 대해 비판할 수도 있다”는 원론적 표현으로 맞서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사회당 등은 ‘민주당ㆍ참여당과는 선거 연대를 하지 않는다’는 것을 정책으로 채택하라고 요구하고 있다.
이런 난항에도 불구하고 진보진영이 26일까지 정책합의에 성공하면 이후에는 합당과 새 지도부 구성 등 통합을 위한 실무절차에 들어가게 된다.
민노당과 진보신당은 정책합의문 채택시 이를 추인하기 위한 전당대회를 각각 다음 달 17~18일, 26일에 소집한 상황이다.
그러나 야권에서는 과거 종북주의 논란과 맞물려 있는 대북문제 등을 이유로 진보진영이 시한 내 정책합의문을 채택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적지 않다.
야권 일각에서는 정책합의문 도출 실패로 진보진영의 통합론이 약화될 경우 민주당이 중심이 돼 각 정파의 독립성을 인정하고 느슨한 정책적 결합으로 묶이는 통합이 힘을 받을 것이란 관측도 있다.
박정민 기자/bohe@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