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부터 격주별로 실시되던 ‘놀토’가 매주 시행되면서 초ㆍ중ㆍ고 학생을 대상으로 주 5일 수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주 5일 수업이 전면 시행됨에 따라 반기는 분위기 속에 우려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교육과학기술부에 따르면 첫 시행일인 지난 3일 토요 방과 후 학교에 42만여명, 토요 스포츠 데이 프로그램에 15만 여명, 토요 돌봄 교실에 3만여명이 참여했다고 밝혔다.
이와는 반대로 일부 학원가에서는 ‘놀토’ 특수에 따른 토요일 강좌가 경쟁적으로 신설되는 등 우려했던 사교육시장 확대가 발생하고 있다.
2010년 통계청 사교육시장 조사 자료를 보면, 초ㆍ중ㆍ고등학교 학생 사교육비 총액은 20조 9000억 원으로 2009년에 비해 3.5% 감소했으나, 이번 ‘놀토’시행으로 사교육시장 확대가 우려된다.
우리나라 학생들이 사교육의 굴레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것은 학벌주의를 중시하는 사회 구조에서 비롯됐다. 좋은 대학을 나와야 취업에 유리하다는 사고방식이 사회 전반에 깔려있다.
이런 이유로 모든 학생과 학부모는 시험성적에 매달릴 수밖에 없었고, 이제는 대학 진학을 앞둔 고등학생 뿐만 아니라 중학생, 초등학생까지 인성교육이 아닌 오로지 진학을 위한 사교육 현장으로 내몰고 있는 것이다.
현재 상황에서는 공교육이 사교육과 경쟁해서 이길 수 없는 단계를 넘어섰다. 취미활동이나 적성교육을 위한 방과 후 활동은 학부모들에게 인기가 없고, 이런 활동도 특기생을 선발하는 입시 제도를 위한 수단으로 바뀐 지 오래다. 학부모들의 목적은 오로지 시험성적과 대학교 진학에만 관심을 가질 뿐이다.
이런 환경에서는 교육당국에서 말하는 창의성 교육보다는 점수를 위한 과목만 집중적으로 공부하는 학생로봇만 생산할 뿐이다.
우리는 더 늦기 전에 교육정책을 다시 짜야 한다. 물론 학벌중심의 사회구조 해결이 선행돼야 하겠지만, 이는 교육 제도 뿐만 아니라 정치, 경제, 문화 등 사회 전반에 걸친 장기적인 전략을 세워 이뤄나가야 할 것이다. 차선책으로 현실적으로 가능한 대책부터 시작해야 한다.
먼저 공교육에서 취미활동과 적성교육에 대한 투자를 증대하고, 이를 학생들의 내신 성적에 대폭 반영해야 한다. 예를 든다면 국어ㆍ영어ㆍ수학 등 성적을 위한 과목은 수업시간을 줄이고, 음악ㆍ미술ㆍ체육 등의 과목은 수업시간을 늘려야 한다. 그리고 건전한 취미활동과 동아리활동도 공교육 시간에 포함시켜야 한다.
또 한 가지는 정책적으로 사교육이 담당하는 분야를 제한해야 한다. 즉, 학교 성적을 위한 과목은 제한하고, 외국어ㆍ예술ㆍ스포츠 등 공교육에서 깊이 있는 교육을 하기 어려운 분야만 전담하도록 해야 한다. 이는 공교육에서 부족한 부분을 보충하거나, 공교육보다 수준 높은 단계를 배우고자 하는 학생들을 위한 교육이 돼야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각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도서관과 문화센터를 읍ㆍ면ㆍ동마다 만들어 다양한 프로그램을 실시해야 한다. 이 공간은 맞벌이 부모의 자녀들이 여가시간을 활용할 수 있어 방과 후 어쩔 수 없이 사교육을 받아야 하는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놀토’가 교육 격차를 조장해 ‘교육 양극화’에 한몫을 한다면 우리 미래는 어둡겠지만, 다양한 프로그램 등을 개발해 창의적인 교육으로 우수한 인적자원을 길러낸다면 우리나라 미래는 그 만큼 밝아 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