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들어 총실업자 수가 한 100만명을 넘었다가 80만명 선에서 머무르고 있고 청년 실업자는 30만명이 넘어 실업률은 7~8%대를 넘나든다. 재정위기를 맞고 있는 일부 유럽국가와 비슷한 수준이다. 청년층 중 여건이 되는 사람은 해외학연수나 대학원 진학으로 잠시 유보되지만 나머지는 출신대학이나 고시학원을 전전하며 사회 무소속으로 취업을 학수고대하는 청년들이다. 추석은 다가오고 대선주자들의 일자리 약속은 화려하지만 현실은 고용 없는 성장만 있을 뿐이다. 다시 취업시즌에 들어섰다. 이번에는 생각을 바꿔보자
대졸자들은 눈높이를 낮춰야 한다. 대학진학률이 2011년 72.5%이며, 실업자중 전문대 이상 대졸자 비중은 절반에 가까운 49.4%에 달한다. 사교육 열풍이 반증하듯 자녀가 한둘인 상황에서 대학졸업은 필수코스가 된 것이다. 산업현장 수요와 무관하게 배출된 이들에게 급여수준과 업무의 성격, 근무환경을 모두 맞추어 줄 수 없다. 사실 기업은 살아있는 하나의 법인체이다. 아침 티타임, 손님 접대, 청소, 회의준비 등 서비스 업무와 전화, 전기, 회의실 냉난방 등 시설 관리업무, 구매, 판매, 물류, 연구 분야와 CEO의 판단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성과를 내며 생존하는 유기체다. 기업 입장에선 다양한 일자리에 경중이 없기 때문에 대졸자도 입사하면 허드렛일부터 시작하는 것이다.
대학교육의 산업현장과 적합성을 높여나가야 한다. 학문은 논리로 움직이지만 글로벌 경쟁시장은 귀납적이며 역동적이다. 산업현장 실습과 현장교육을 강화하여 현장수요에 부응해야 한다. 일부 대졸자들이 다시 기능대학으로 재입학하는 현상은 이를 반증하는 것이다. 또한 취업하지 못하면 학자금대출로 신용불량자가 되는 현실에서 불가피한 선택인지도 모른다. 2008년 대학진학률은 83.8%로 사상 최고였으니 획기적 일자리 창출이 없는 한 이들이 노동시장으로 진입할 올 하반기 청년 취업난은 심화될 전망이다.
고졸 인력 채용을 위해 지원을 현실화해야 한다. 통계청에 따르면 2011년 중소기업 인력부족률은 3.01%로써 6만4738명에 달한다. 연구직, 기술직, 단순노무직, 사무관리직에서 일손이 부족하다. ‘OECD 도시정책보고서’의 지적대로 수도권에 집중된 외국인 노동자 65%가 서비스, 건설, 제조업 등 비숙련 일자리를 대체하고 있는 것이다. 한쪽에선 구직난, 반대편에서 구인난인 셈인데 고졸자와 대졸자의 임금격차를 줄이고 유능한 고졸자에게 대학 진학의 기회를 확대하면 일거양득이 될 수 있다. 통근거리가 먼 중소기업에겐 통근버스나 교통비 지원을 통해 중소기업 일자리를 지원하는 방안도 고려할만하다.
베이비부머가 본격 퇴직을 시작해 매월 18만여 명의 비자발적 이직자가 발생하고 있다. 영국처럼 50세 이상의 중고령자에게는 개인상담원을 두어 맞춤형 전직지원서비스를 실시하면 퇴직자의 전직준비는 물론 100명당 1명씩만 두어도 1800여명의 일자리 창출도 가능하다. 장기적 안목에서 제도적으로 산업현장과 일자리 균형을 모색해 나가야 한다. 취업 선택기준으로 ‘남이 가지 않는 길을 가라’는 말이 있다. 일에 대한 사회적 평판보다는 일하려는 의지가 중요하다. 일자리는 사회가 주는게 아니고 내가 만들어 나가는 것이다. 요즘 농촌은 고양이 손이라도 빌어 쓸 만큼 바쁘다. 태풍과 소나기로 농작물을 복구해야하고 동시에 익은 농산물을 수확해야 하기 때문이다. 우선 농가를 도우면서 일자리를 생각해보자.
-박종천 농협안성교육원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