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전 무소속 후보가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를 지지키로 했다. 안 씨는 6일 문 후보와 만나 조건 없는 지원을 약속하고 지지자들의 동참을 구했다. 정권교체는 새정치의 시작이며, 국민이 자신에게 준 소명, 상식과 선의의 길을 가겠다는 것이 안 씨의 새 다짐이다.
이로써 안개 속을 헤매던 안 씨의 정치적 입장은 보다 명확해졌고, 대선전은 큰 틀에서 그야말로 보수와 진보 양대 진영 간 맞대결이 불가피해졌다. 우선 정치인 안 씨에 대한 개념 정리가 필요하다. 스스로 표현했듯이 ‘합리적 보수ㆍ온건 진보’ 성향일 수는 있으나 본인이 그토록 경계해온 기성정치로의 편입을 택한 만큼 ‘새정치’는 더 이상 어울리지 않는다는 지적이 일리 있다. 만일 이를 고집한다면 정치적 도그마라는 지적을 받을 처지다. 좌고우면하면서 안 씨 스스로도 적잖이 고민했음직하다.
문-안 연대는 정치적으로 있을 수 있는 일이다. 그러나 사후연대에 대해서만큼은 국민적 알권리를 충족시키는 것이 옳다. 회동 뒤 두 사람은 대선 후에도 긴밀하게 협의해 나가겠다는 점을 유독 강조했다. 집권을 하게 되면 문-안 공동정부인지, 그렇다면 권력분담을 어떻게 이뤄낼지, 차기 보장은 이뤄졌는지 등 어떤 내용이라도 좋다. 있는 그대로 내놓고 유권자들의 표로써 심판을 받으면 되는 것이다. 정치에 있어 투명성 확보야말로 민주주의의 기본 개념에 부합하는 일이다. 그 반대는 곧 밀실야합일 것이고, 이는 곧 권력 나눠먹기라는 비판으로 직결된다는 점을 인식하기 바란다.
안 씨가 기름일지 잔불일지, 또 그로 인해 상황이 얼마나 변할지 역시 유권자들의 판단에 달렸다. 이 시점에서 중요한 것은 늦었으나마 대선이 대선답게 치러지게 하는 일이다. 문-안 단일화 협상 지지부진의 폐단은 컸다. 우선 유력 후보 간 방송사 주관 TV토론이 불발되면서 급기야 지지율 0.2%짜리 통합진보당 이정희 후보까지 3분의 1의 지분을 보장받는 선거관리위원회 주관 TV토론에 의존해야 하는 일이 벌어졌다.
차제에 문 후보와 야권, 나아가 정치권 전체 차원의 자기성찰과 반성이 필요하다. 더 이상 인위적인 단일화, 오로지 대선 승리를 위한 정치공학적 단일화는 지양하자는 것이다. 이런 것이야말로 구태정치의 전형이다. 정치색을 분명히 하고 올곧은 정책을 앞세우고도 지도자다운 이를 후보로 내놓기가 어려우면 실력을 채워 선거에 임하는 것이 곧 국민에 대한 예의다. 여든 야든 다음 대선부터라도 ‘안철수 소동’을 큰 교훈으로 삼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