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대통령 성패, 취임 전 두 달에 달렸다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가동이 늦어지고 있다. 1일 신년회 참석 직후 별다른 일정을 잡지 않은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행보에서 그 고심이 충분히 읽힌다. 인수위는 새 정부의 모태라는 점에서 보다 더 치밀한 검증이 필요하기에 그럴 것이다.

인사는 곧 만사(萬事)다. 대통령도 국가 향방도 결국 인사에 달렸다는 의미다. 잘못된 인사로 인한 폐해가 어떤지는 역대 정권을 통해 똑똑히 지켜봤다. 대통령 당선인이 직ㆍ간접으로 행사하게 될 자리는 무려 1만개가 넘는다고 한다. 그 첫 시험무대가 곧 정권인수위이고 첫 조각이다. 이것이 잘못되면 출발부터 순탄치 않게 됨은 물론이다.

박 당선인은 연말 김용준 인수위원장을 통해 인수위원ㆍ전문위원 등이 차기 정부로 옮겨가는 것을 전제로 임명되는 것은 아니라고 못 박았다. 줄대기, 줄서기, 줄세우기 관행을 인수위부터 차단하겠다는 경고로 해석된다. 과거 노무현 전 대통령은 ‘패가망신’, 이명박 대통령은 ‘위험한 발상’이라며 인사 청탁을 경계했지만 실제는 그 반대에 가까웠다. 박 당선인이 이 점 누구보다 더 잘 알 것이다.

대탕평과 별개로 박 당선인의 인사 스타일에 대한 우려 또한 없지 않다. 사안의 중대성에 비춰 펼쳐놓고 할 일은 아니라 하더라도, 그렇다고 지나치게 감쪽같이 밀실에서 해치우듯이 하는 것 역시 옳아 보이지 않는다. 번번이 인사 뒤탈이 나오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인수위원장 등 핵심 인선 과정에서 ‘밀봉인사’라는 따가운 지적을 받은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통치철학이 통하는 이들을 쓰는 것과 지연ㆍ학연 등 소소한 감정에 치우쳐 내 사람을 심는 것은 근본이 다르기에 코드인사를 무조건 비판할 것도 아니다. 지나친 결백주의도 불필요하다. 특정지역을 우선 배려하다 보면 인재 결핍과 역차별이라는 부작용도 초래할 수 있다. 또 인수위를 정부 업무 인수에만 애써 제한할 것도 아니다. 행정의 지속성 측면을 고려해 필요한 이는 새 정부로 이어지게 하는 것이 옳다.

새 정부는 인사검증 시스템을 최상급으로 끌어올려 적어도 대통령의 인사에서만큼은 추호의 잡음이 없도록 하기 바란다. 이번 인수위는 정권교체가 아니기에 이런 내실 중시로 가도 된다. 중요한 것은 관리와 처신이다. 인수위 완장을 앞세워 민원성 정책을 놓고 장난을 치려거나 일선 기관장 등 인사에 영향력을 행사하려 드는 폐단이야말로 가장 경계해야 할 대목이다. 취임 전 두 달이 향후 5년을 좌우한다.
연재 기사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