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준 국무총리 후보자가 29일 전격 사퇴했다. 후보 지명 닷새 만의 일이다. “저의 부덕의 소치로 국민 여러분께 걱정을 끼쳐 드리고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에게도 누를 끼쳐 드려 국무총리 후보자 직을 사퇴하기로 결심했다”는 말을 남겼다. 새 정권 첫 총리 후보가 공식검증 전에 중도하차한 것은 헌정사상 이번이 처음이다.
김 후보자는 여당 공동선대위원장이었고, 공로를 인정받아 대통령직인수위원장에 올랐으며, 새 정부 첫 총리 후보로 지명되는 등 최고 임명직을 섭렵했다. 그의 인생역정은 한편의 인간승리 드라마라 할만 했고, 장애에다 노구를 이끌고 국정 일선에서 헌신하는 모습에 많은 이들이 감동한 것도 사실이다. 그러기에 박 당선인이 받은 충격은 매우 남다를 것이다.
그러나 감성의 문제가 아니다. 김 후보자는 총리 지명 직후부터 불거진 두 아들의 병역면제와 가족의 재산증식 과정에서의 각종 의혹에 대해 끝내 해명하지 못했다. 김 후보자는 결심 전에 “죄는 안 지었지만 존경받는 총리가 되기는 틀렸다”는 말로 착잡한 심경을 주변에 토로했다고 들린다. 그렇다면 떳떳하고 당당하게 정면에 나섰어야 했다. 그런 담대함이야말로 국민이 바라는 바다.
김 후보자의 낙마는 총리 후보자로선 김대중 정부 당시 장상ㆍ김대환, 이명박 정부에서 김태호 후보자에 이어 네 번째지만 그 의미는 과거와 비견이 안 된다. 정권의 첫 총리인 데다 첫 인선이란 점에서 이번 낙마사태는 그 후유증과 부작용을 감안할 때 당선인으로선 중대한 과실이 아닐 수 없다. 그것도 다름 아닌 도덕성에 귀결되는 사안이다. 대통령 당선인의 체면은 말할 것도 없고 새로 출범할 정부의 위신과 신뢰에 큰 손상이 불가피하게 됐다.
이런 일이 더 이상 되풀이 돼선 곤란하다. 이번을 교훈 삼아 요직일수록 보다 철저하고 엄격한 검증이 있어야겠다. 언론을 통한 사전검증보다 더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평가수단도 드물다. 여기에 청와대 인사검증 시스템을 제대로 활용한다면 별다른 애로 없이 인선에 임할 수 있다. 일이 꼬인 내력은 의외로 간단하다. 우리는 인수위 출범을 지켜보면서 ‘철통보안’을 우려했고 그동안 숱하게 박 당선인의 비밀주의를 지적해 왔다. 이번 사태는 이런 불필요한 경계심이 빚은 예고된 인사재앙일 뿐이다. 뜻밖의 사태로 총리 인선부터 늦어져 새 정부 출범 일정에 차질이 빚어지지 않을는지 걱정이다. 지금까지 지적된 인사 문제점을 하나하나 되짚어보면 답을 얻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