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해 안녕과 풍요 비나이다.
바다건너 울릉도 동제(洞祭) 명맥 근근이 유지
[헤럴드 대구경북=김성권 기자]음력으로 새해 첫 보름달이 보이는 정월대보름에는 오곡밥을 비롯한 전통 음식과 풍습 등 유래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미지중앙

경북 영천지역의 대표 동제인 자양면 보현3리 신당에서 정월대보름을 맞아 마을의 안녕과 무사태평을 기원하고 있다.(사진=영천 문화관광해설사 전민욱씨 제공)

이미지중앙

울릉도의 대표적 동제(洞祭)인 마을 신당에서 정월대보름을 맞아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빌고 있다.(독자 하철식씨 제공)


옛 조상들은 음력 115일 새해 첫 보름달이 뜨는 정월대보름을 설보다 더 큰 명절로 지냈다고 한다.

정월대보름에는 마을의 명절로 온 동네 사람들이 함께 참여해 다리 밟기
, 달맞이, 달집태우기, 쥐불놀이, 탈놀이 등의 행사와 부럼 깨 물기, 더위팔기, 귀밝이술 마시기,오곡밥 나눠먹기 등을 했다.

특히 마을의 수호신에게 온 마을사람들이 질병과 재앙으로부터 벗어나 농사가 잘 되고 고기가 잘 잡히도록 동제
(洞祭)를 지냈다.

이런 모든 행사는 질병이나 액운을 막고 마을의 무사태평을 기원하며 한 해 동안 좋은 일만 생기고 풍년을 기원하는 우리조상들의 지혜로운 세시풍속 행사였던 것이다
.

대보름인 지난
110시께 바다건너 경북 울릉도에서 폭설이 내리는 가운데도 마을 사람들이 정성껏 준비한 제수 품을 차려놓고 동제를 올렸다.

울릉도의 대표적인 동제로 군신
(郡神)의 위패가 있는 대원사 입구의 신당(神堂)에서 군청소재지 마을인 도동1.2리 마을 대표들이 한자리에 모여 마을의 안녕을 기원했다.이날은 울릉군수를 비롯,군의회의장,농·수협장등 기관 단체장들도 참석했다.

동제는 대부분 음력 정월을 전후해 열리지만 주로 업업에 종사하는 어촌계에서 주관하는 해신 제
(海神祭) 만큼은 매년 삼월삼짇날(음3.3) 에 일제히 치러진다.

원래 사직단으로 불리던 도동의 마을 신당은
1910년 경술 합병 후 전국의 사직단에 대한 철폐령에도 불구, 개척민들의 수호신인 마을신당을 지키기 위해 사직단의 위패를 땅에 파묻어 가며 19458.15해방 이후까지 신위를 모셨다고 전해지고 있다.현재 이 신당은 울릉군신을 비롯한 5의 위패가 모셔져 있기도 하다.

울릉도 전래의 세시풍속인 마을 제는 주민들이 함께 참여하는 공동의례로 자연과의 친화와 이웃 간의 결속을 다지는 역할을 해왔으나 새마을운동이 시작된 지난 70년대에는 미신이라는 이유로 된서리를 맞기도 했다.

그뒤
1~2년 동안 동제가 중단돼 사라질 위기를 맞기도 했으나 80년대 들어 하나 둘 시작해 대다수의 마을이 동제를 부활시켰다.

제의 제례를 맡은 제관들은 물론 주민들도 동제를 지내기에 앞서 2~3일 동안 몸과 마음을 정갈하게 한 뒤 제사를 지내며 부정한 사람들이 제단에 오지 못하도록 제례가 있기 일 주일전부터 금줄을 치는 등 정성을 다해왔다.

동제가 끝나면 주민들은 한데 모여 향회를 열고 마을의 살림살이를 의논하고 덕담을 주고받는 등 이웃 간 결속과 향토애를 다지며 전통
문화의 끈을 이어왔다.

그러나 정월대보름만 되면 마을별 동제를 올리는 모습을 이제는 거의 찾아 볼수가 없다
. 동제를 올리는 제관도 제수품을 준비하는 사람조차 없다는 것이다.그래서 울릉도 도동의 동제도 1.2동 순번을 정해 놓고 책임제로 매년 바꿔가며 동제를 올리고 있는 실정이다.

질병이나 액운을 막고 마을의 무사태평을 기원하며 한 해 동안 좋은 일만 생기고 풍년을 기원하는 우리조상들의 지혜로운 세시풍속 이 사라질 위기에 놓여 안타갑기만 하다
.

동제를 준비해온 마을 주민 하철식 씨는 농경문화에서 탄생한 세시풍속이 전통 농업사회에서 현대 산업사회로 바뀌면서 의미가 퇴색되고 그 내용도 축소, 약화되고 있는 실정이 아쉽다.”요즘 젊은 세대 들이 무조건 미신이다 며 외면 할 것이 아니라 농어촌 지역에서 자연환경에 맞게 생성, 계승, 발전된 문화콘텐츠라는 총체적인 시각으로 바라볼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어릴 적 시골에서는 해마다 이맘때쯤 되면 또래 친구들과 빈 깡통에 구멍을 뚫어 소나무 가지나 나무 조각을 넣고 밤이 되면 들녘으로 나가 불을 붙여 신나게 돌리고 놀다가 불똥이 옷에 떨어져 태우고 손도 데인 적도 여러 번 있었다
.

이미지중앙

충북괴산의 오가리 느티나무(자료사진)

이미지중앙

국가지정 천연기념물309호인 부산 구포동 당숲(자료사진)


지금 와서 생각해보면 어린나이에 깡통에 불을 피우고 돌리며 논다는 것이 매우 위험한 놀이였기 때문에 지금의 아이들에겐 동화 속 이야기처럼 들릴 수 도 있지만 그때는 그런 놀이들이 그렇게 위험하다고 생각하지 않았다
.

저녁이 되면 친구네 사랑방에 또래의 친구들이 모여 놀다가 배가 출출해지면 남의 집 부엌에 몰래 들어가서 밥을 훔쳐와 여러 가지 나물을 넣고 맛있게 비벼먹었다
.밥을 훔쳐간 것을 동네 어른들이 나중에야 알고서도 너그럽게 이해해 주시던 기억이 난다.

이처럼 어릴 적 정월대보름은 모두가 가난하고 어려웠던 시절이었지만 인심만큼은 아주 넉넉했던 것 같다.

민간에서는 대보름에 마을 공동체가 서낭당에 집결해 제사인 동제를 지냈다 한다. 현재도 천연기념물인 ▲부산 구포동 당숲(309) ▲강원 삼척 갈전리 느릅나무(272) ▲충북 괴산 오가리 느티나무(382)에서는 당산제를 올리는 풍습이 꾸준히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올해는 구제역
·조류인플루엔자(AI)로 인해 많은 지방자치단체가 대보름 행사를 취소했다.

넉넉하고 훈훈했던 옛 풍습들이 하나둘 사라지고 있어 아쉽다
. 선조들이 지혜롭게 세시풍속 행사를 개최한 것처럼 올 한해 모든 액운을 막고 무사태평과 좋은 일만 있기를 기원하는 마음이 간절하다.

ksg@heraldcorp.com
연재 기사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