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김윤석 “올바른 끝맺음 강조한 이순신, 이 시대도 통하는 정신”
영화 ‘노량’에서 주인공 이순신역 맡은 김윤석
20㎏ 갑옷에 코피...해전 찍을 땐 멀미하기도
최후 장면, 가장 담백하게 인간적으로 표현
영화 ‘노량’에서 주인공 이순식 역을 맡은 김윤석은 “최후 장면 촬영할 때 부담이 컸다”고 말했다. [에이스메이커무비웍스·롯데엔터테인먼트 제공]

“그저 영광스러웠습니다. 최민식 씨와 박해일 씨에 이어 이순신 장군을 맡는 부담보다는, 존재가 너무 큰 이순신 장군이 주는 부담이 훨씬 컸어요. 그걸 받아들이려고 노력했죠.”

배우 김윤석은 최근 서울 삼청동의 한 카페에서 가진 인터뷰에서 영화 ‘노량: 죽음의 바다’(이하 ‘노량’)의 주인공인 이순신 장군 역할을 맡은 부담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20일 개봉한 ‘노량’은 김한민 감독의 ‘명량’(2014년)과 ‘한산: 용의 출현’(2022년)에 이은 이순신 3부작의 완결편이다. 영화는 이순신 장군의 생애 마지막 전투이자 7년 간의 임진왜란을 마무리한 노량대첩을 소재로 했다. 개봉 당일 32만 명의 예매 관객 수를 기록한 영화는 개봉 5일 만에 관객 수 200만명을 돌파했다.

김윤석은 영화 촬영에 들어가기 전부터 김 감독이 추천한 책들을 비롯해 이순신 장군에 대한 많은 자료를 공부했다. 덕분에 그는 7년 간의 임진왜란이 얼마나 처절하고 힘들었던 싸움인지 처음으로 알게 됐다고 했다.

“당시 임진왜란으로 400만명이 죽었다는데 그때 조선 인구가 800만~1000만명이었어요. 거의 절반이 죽은 셈이죠. 총과 칼에만 죽은 것이 아니라, 굶어 죽거나 전염병으로 죽었어요. 이순신 장군은 이를 다 겪었을텐데 전쟁을 어떤 의미로 종결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많이 했을 것 같았어요.”

‘노량’의 이순신 장군은 전작들과 달리 전투 자체의 승리에만 매달리지 않는다. 그의 목표는 노량 대첩의 승리가 아니라 왜군의 완전한 항복이었다. 김윤석 역시 연기 내내 이러한 마음가짐에 중점을 뒀다.

“우리나라가 7년 동안 전쟁한 적은 없었어요. 그 정도로 섬 나라 사람들의 육지에 대한 열망과 욕망이 어마어마했던 거죠. 이순신 장군의 결론은 하나였습니다. 이들은 또 온다는 것. 다시는 그들이 오지 못하도록, 이 땅을 넘보지 못하도록 왜군의 완전한 항복을 받아야 내야 한다는 것에 대해 감독과 많이 얘기했습니다.”

김윤석은 극중에서 20㎏이 훌쩍 넘는 갑옷을 입고 등장한다. 의상 특성상 내부 옷은 물론 갑옷까지 꽉 조여야만 했다. 이 때문에 코피가 멈추지 않아 응급실에 실려갈 정도였다. 그러나 이보다 힘든 건 따로 있었다. 바로 세트장에서 진행된 해전 촬영. 그는 흔들리는 배 위에서 겪었던 멀미를 떠올리며 혀를 내둘렀다.

“세트장에서 물 없이 해전 장면을 찍었는데, 바다의 파도를 표현하기 위해 짐벌 위에 배를 설치해 움직이도록 했어요. 그런데 움직이는 배 위에 계속 있으니 멀미가 나더라고요. 장군이 비틀거려서도 안되고, 뭔가를 짚어서도 안되니 계속 참았죠. 나중엔 멍해지고 몽롱해질 정도였어요. 모든 사람들이 짐벌을 가장 힘들어했어요.”

그러나 그는 전체 촬영 가운데 가장 힘들었던 장면으로 아들을 잃는 장면을 꼽았다. 극중에서 이순신 장군은 셋째 아들 이면(여진구 분)이 왜군에 의해 숨지는 꿈을 꾼다. 이는 이순신 장군의 과거의 아픔을 보여주는 장면이다. 이면은 실제로 이순신 장군의 고향을 습격한 왜군과 싸우다 전사했다.

“아들이 왜군의 칼에 죽는 모습을 목격하는 장면을 촬영할 때 감정적으로 제일 힘들었어요. 자식이 칼에 살해당하는 걸 두 눈으로 보는 건 아버지에게 굉장히 잔인한 고통이잖아요. 촬영할 때 너무 감정이입이 돼서 온몸이 부들부들 떨릴 정도였죠. ”

‘노량’의 최후는 한국인이라면 누구나 다 알고 있다. ‘역사가 스포일러’라는 말이 나올 정도다. 그만큼 최후 장면을 촬영할 때 부담이 컸을 수 밖에 없다. 그러나 김윤석은 이순신 장군의 최후를 최대한 담백하게 그려냈다.

“위대한 장수의 위대한 죽음보단 400년 전 어느 50대 직업 군인의 가장 인간적인 죽음이길 바랐습니다. 이 죽음은 굉장히 진실 되게 표현돼야 한다고 생각했죠. 그 모습이 관객들에게 다가갔으면 좋겠어요.”

자신의 죽음을 알리지 말라는 이순신 장군의 유언 역시 힘을 주어 표현하기 보단 당시 전쟁의 현실성을 최대한 입혀 그려내는데 중점을 뒀다.

“머릿속엔 딱 한 가지 뿐이었어요. 빨리 이 얘기를 해서 (전투에) 방해가 돼선 안된다는 것이었죠. 한창 싸우고 있는데 장군이 죽는다고 모든 공기가 멈추면 안되잖아요. ‘나는 죽을 거니까 나한테 신경 쓰지 말고 빨리 싸워라’의 맘을 가지고 임했죠.”

김윤석은 ‘노량’에 앞서 ‘모가디슈’, ‘남한산성’, ‘1987’, ‘극비수사’, ‘추격자’ 등 실화를 소재로 한 영화에 주로 출연했다. 그가 이토록 실화 영화와 인연이 많은 것은 실화만이 갖고 있는 매력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의도했던 건 아니에요. 그 당시 가장 뛰어난 시나리오를 선택했는데 그게 대부분 실화 영화였던 거죠. 그런데 어쩔 수 없는 것이, 실화를 바탕으로 하는 작품은 힘이 있어요. 그게 아마 절 끌리게 했던 것 같아요.”

‘명량’, ‘한산’에 이어 ‘노량’으로 이순신 3부작의 여정을 마무리하는 김윤석. 그는 영화를 통해 이순신 장군이 그토록 강조했던 ‘올바른 끝맺음’을 생각하길 바란다는 소망을 내비쳤다.

“진정 새로운 시작을 원하면 올바르게 끝맺음을 하고 나아가야 하고, 멈추지 말아야 할 땐 멈춰선 안된다는 것. 참된 삶을 위한 의로운 죽음과 진정 새로운 시작을 위한 올바른 끝맺음. 이것이 ‘노량’이 하고자 하는 얘기가 아닌가 싶어요. 지금 시대에도 통하는 말이죠.” 이현정 기자

rene@heraldcorp.com

연재 기사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