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기고] 명품숲·국유림 활용한 산촌 활성화

서울에서 차로 2시간 남짓 떨어져 있는 ‘인제 자작나무숲’은 산림청이 가꾼 대표 명품숲으로 연간 약 25만명이 방문해 지역경제에 많은 도움이 되고 있다.

불과 10여년 전만 해도 이곳은 여느 산촌과 마찬가지로 인구 감소를 심하게 겪는 지역이었다. 그러나 2012년부터 자작나무 숲을 공개하자 탐방객이 늘어나면서 최근 5년간 평균 270억원의 지역경제 파급 효과가 발생했고 인구 또한 최근 10년간 13% 정도가 증가했다.

‘인제 자작나무숲’이 이렇게 탈바꿈한 데에는 1989년부터 1996년까지 산림청에서 자작나무 69만그루를 심은 것이 시초이며, 지금은 단순한 명품 숲이 아니라 일자리와 그 일대 주민의 소득이 늘면서 산촌 지역경제 활성화에 이바지하고 있다. 이렇듯 국유림 명품숲은 교육과 의료, 문화 등의 기반이 빈약한 산촌에 활력을 불어넣는 지역경제 선순환을 이뤄내는 구심체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는 것이다.

낙후지역으로 인식돼 온 산촌이 최근에는 깨끗하고 풍부한 자연자원을 바탕으로 무한한 잠재력을 지닌 새로운 공간으로 점차 인식되고 있다. 일례로 유휴 임야를 활용해 산양삼과 같은 고부가가치 임산물을 재배해 고소득을 올리는 임업인이 늘고 있다. 또 코로나19 이후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산림을 기반으로 하는 휴양, 치유, 체험, 캠핑 등 도시민을 위한 다양한 산림휴양·복지 활동은 2022년 산림휴양·복지활동 조사 결과, 응답자의 94.7%가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산림청의 지난 50년은 나무를 심고 숲을 가꾸는 자원육성 중심의 정책을 추진해 왔다. 하지만 이제 산림을 활용한 일자리와 삶의 질을 높이는 소중한 자원으로 지속가능하게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때다.

특히 2022년 산촌 인구 추이 분석 결과, 89개의 인구 감소지역 시·군·구 중 40%가 산촌 읍·면에 해당되고, 466개 산촌 중 89.5%(417개)가 소멸 고위험 지역에 해당돼 산림과 맞닿은 삶의 터전인 산촌이 새로운 경제적·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활력공간이 될 수 있도록 국유림을 활용한 산촌 활성화 전략이 필요하다.

최근에 행정안전부와 통계청은 지역에 체류하는 사람까지 인구로 보는 새로운 인구 개념인 ‘생활인구’의 최초 산정 결과를 공표했다. 생활인구는 교통·통신의 발달로 이동성과 활동성이 증가하는 생활유형을 반영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로, 기존 주민등록인구·등록외국인(등록인구)뿐 아니라, 월 1회· 하루 3시간 이상 체류하는 사람(체류인구)으로 구성된다. 정주 인구를 갑자기 늘릴 수는 없어도 산촌소멸을 막기 위한 현실적인 대안이 바로 생활인구 확대다.

대한민국 명품숲·국유림을 활용한 산촌 활성화 사업은 산촌 지역 주민과 이곳으로 이주하는 도시민, 나아가 앞으로의 미래 세대까지 산촌의 청정한 자연환경을 향유하고 지속가능한 삶을 영위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앞으로 산림청은 산촌 지역별로 특화한 국유림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산촌 주민을 위한 새로운 소득과 일자리를 창출하고, ‘숲으로 잘 사는 대한민국, 국민 행복 시대’를 만들어 나가는 데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다.

남성현 산림청장

kwonhl@heraldcorp.com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