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데스크칼럼] 변혁의 순간, 한국 반도체의 선택

“반도체를 실리콘 밸리에 돌려줍시다.” 미국이 반도체에서 본심을 드러냈다. 지난달 21일 인텔이 파운드리 사업부 출범을 알리는 행사에서였다. 지나 러몬도 미 상무부 장관은 반도체 산업의 발상지인 미국에서 과거의 영광을 재현하자며 노골적으로 밝혔다. 이날 인텔은 2030년에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시장에서 세계 2위를 차지하겠다고 했다. 현재 삼성전자 자리다.

재작년 미국이 주도하고 한국·대만·일본이 참여한 ‘칩(Chip)4’ 동맹은 일종의 국가간 편먹기였다. 중국을 고립시키는 게 주목적이었다. 하지만 이후 분위기는 묘하게 흘러갔다. 미국은 2022년 반도체법을 발효했다. 지원금 지급을 통해 미국 내 투자를 유도하기 위해서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를 포함 투자의향서를 제출한 기업이 전세계적으로 600개가 넘는다.

최근에 미국은 인공지능(AI) 흐름을 탄 반도체 부흥을 위해 인텔과 MS, 아마존, 구글 등 미국 빅테크들과 연대한 ‘팀 아메리카’를 외치고 있다. 마이크론은 지난달 5세대 HBM(고대역폭 메모리) 제품인 HBM3E 양산을 시작했다. 이례적으로 엔비디아에 납품한다고 밝혔다. 인텔은 파운드리 고객사로 MS를 확보했다. AI칩 설계와 생산을 미국 기업끼리 하는 구도다.

일본도 반도체 부활에 적극적이다. 일본 정부는 소니, 토요타 등 대기업 8곳을 묶은 반도체 회사 라피더스를 세웠다. 최근엔 소니, 덴소 등 일본 기업과 세계 1위 파운드리 회사인 대만 TSMC와 손잡고 일본 규슈 구마모토현 제 1공장을 준공했다. 이 공장의 공정은 12~28나노급의 레거시(비첨단) 공정이다.

TSMC는 최첨단 공정은 대만 본토에서 하는 이원화 전략을 펼치고 있다. TSMC는 대만에서 최첨단 2㎚(나노미터) 공장, 첨단 패키징 공장 등 10개를 추가로 지을 계획으로 전해졌다. 인공지능(AI)용 반도체 수요 급증에 따른 2~3㎚ 이하 최첨단 공정은 철저히 대만에서 한다는 계획이다.

설계(팹리스), 생산(파운드리), 소재·장비 등 글로벌 반도체 기업 간에는 이해 관계에 따라 다양한 협력이 이뤄질 것이다. 하지만 국가적으로 반도체는 ‘동맹’에서 ‘각자도생’의 길로 들어선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강력한 견제에도 중국은 화웨이를 중심으로 반도체 굴기를 지속 중이다. 중국은 반도체 산업 육성을 위해 사상 최대인 270억 달러(약 35조6400억원) 규모의 국가집적회로산업투자펀드 조성에도 나섰다.

AI시대에 반도체는 이제 각국 산업의 핵심무기가 됐다. 더욱 살벌해진 반도체 패권 전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선 ‘기술 초격차’는 기본이다. 현실적으로는 팀 아메리카, 일·대만 협력, 중국의 굴기에 맞서는 ‘팀 코리아’로 한국 반도체를 지켜내야 한다. 이미 자국 이기주의가 노골화된 마당에 눈치볼 필요는 없다.

한국도 정부와 여야 모두 반도체 산업 육성에 적극 나서고 있다. 하지만 올해 말 시효가 끝나는 K-칩스법(대기업 법인세 공제 8%→15%) 연장 등 추가 지원해야 할 부분들은 여전히 많다. 지금 우리는 기술, 특히 AI혁명이 촉발한 반도체 발전으로 삶이 급변하는 ‘변혁의 순간’에 살고 있다. 정부와 기업 모두 냉철하게 판단하고, 영민하게 대응하고, 과감히 실행해야 한다. 도태는 한순간이다.

happyday@heraldcorp.com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