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34년만의 ‘슈퍼 엔저’...수출 피해 없게 리스크 대비해야

달러 대비 엔화 환율이 29일 장중 한때 160엔을 넘었다. 1990년 4월 이후 34년 만의 최고치(엔화 약세)로 심리적 마지노선이 깨진 것이다. 일본 외환당국의 개입으로 다시 150엔대로 하락했지만 시장 불안감은 여전히 크다. 엔화 가치가 곤두박질 친 직접적인 원인은 ‘강달러’다. 미국의 금리 인하 지연 전망과 중동 불안에 따른 강달러 현상이 아시아 외환시장을 흔들고 있는 것이다.

지난 24일 155엔대가 뚫려 조마조마했던 엔화에 기름을 부은 건 일본 은행이다. 나흘 전 우에다 가즈오 일본은행 총재가 기준금리를 연 0~0.1%로 동결한 이후 기자회견에서 “기조적인 물가 상승률에 큰 영향은 없다”고 밝히면서 불을 당겼다. 엔저 때문에 추가적인 금리 인상에 나설 가능성이 낮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진 것이다. 미국과의 금리 차가 5.5%포인트로 벌어진 상태에서 미국의 금리 인하 시점이 밀리고 일본은 금리를 더 올리지 않겠다는 게 확인되면서 자금 이탈을 불러왔다. 주목할 점은 최근 엔화 약세가 유독 가파르다는 데에 있다. 달러 대비 엔화 가치는 올 들어서만 12.38% 하락했다 원화(-6.77%), 유로화(-3.37%), 캐나다 달러(-3.26%), 위안화(-2.06%), 파운드화(-1.9%) 등 주요국 통화 중 절하 폭이 가장 크다.

‘슈퍼 엔저’는 당장 우리 수출 기업에 부담이다. 자동차·철강 등 주요 수출품의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한국과 일본은 주요 제조업종의 수출 대상 상위 10개국 중 5~7개국이 겹칠 정도로 경쟁적이다. 품질을 바탕으로 한 일본제품의 저가공세로 한국 기업의 판로가 좁아질 수 있다. 회복세를 보이는 수출에 찬물을 끼얹지 않을까 걱정이다.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할 대책 마련과 함께 필요하다면 수출 기업에 세제· 금융지원도 고려해야 한다.

일본 관광붐을 더 부채질해 여행 수지 적자도 더 커질 수 있다. 지난 한 해만 일본을 찾은 한국인이 696만 명에 달한다. 외국인 관광객 3명 중 1명이 한국인일 정도다. 이런 분위기가 ‘슈퍼 엔저’로 더 강해질 수 있다. 올들어 지난 1월 85만명, 2월 81만명, 3월 66만명이 일본을 다녀왔다. 비용이 더 싸지면 지난해 방문객수를 넘어설 지도 모른다. 여행수지 적자가 더 벌어져 경상수지 악화와 지역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국내 관광 매력도를 높일 획기적인 방안이 나와야 한다.

엔저 현상 주시와 함께 환율 관리도 더 촘촘히 해야 한다. 원·달러 환율이 1400선을 뚫은 게 얼마 전이다. 미 연방준비제도의 추가 금리 인상설까지 나와 환율이 요동칠 가능성이 큰 만큼 변동성 관리에 소홀함이 없어야 한다.



연재 기사